공군 수송기, 연료 부족 우려 '예방착륙' 시도
日 관제사 이해 못해, 전투기 출격 조치까지
국방부, 관련 인원 10여명에 징계, 경고, 주의
[서울=뉴스핌] 유신모 외교전문기자 = 지난달 한국 공군 수송기가 일본 방공식별구역(JADIZ)에 진입해 일본 전투기가 출격하는 일이 발생한 것은 양국 간 소통 오류 때문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31일 군에 따르면 국방부는 최근 감사를 통해 이같이 결론짓고 관련 인원 10여 명에 대해 징계 요구, 경고, 주의 등의 처분을 했다. 국방부는 공군 수송기가 일본 가데나 기지에 비상착륙하는 과정에서 영공 통과 협조, 주요 상황에 대한 지휘계통 보고 등 임무를 부적정하게 수행한 사실을 감사 결과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 |
공군 C-130 수송기 [사진=공군] |
앞서 지난달 13일 공군 C-130 수송기가 훈련을 취해 괌으로 이동 중 기상 악화로 당초 계획했던 항로보다 우회하다 연료 부족을 우려해 일본 오키나와현에 있는 가데나 미군 기지에 비상착륙을 시도했다.
조종사는 이 과정에서 일본 관제소에 '예방착륙'(Precautionary Landing)을 통보했으나 일본 관제사가 이를 이해하지 못했고, 결국 일본의 승인 없이 JADIZ에 진입하자 일본 전투기가 출격하기에 이르렀다.
추가 교신에서 비상 상황임을 파악한 일본 관제소는 수송기 조종사에게 국제 공용 조난 신호인 '메이데이'(MAYDAY)를 호출하라고 요청했고, 조종사가 메이데이를 호출한 후에야 비상착륙이 허가됐다.
공군 관계자는 "메이데이는 항공기에 결함 등 비상상황이 발생해 구조가 필요하거나, 긴급하게 착륙해야 하는 경우 사용하는 용어"라면서 "당시 상황은 항공기 결함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목적지까지 계속 비행할 경우 연료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돼 연료 보급을 위한 예방적 차원의 착륙이 필요해 국제적으로 공군에서 통용되는 '예방 착륙'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opent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