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회계연도 흑자전환 기대
AI 도입으로 시장 영역 확대
IB들 25% 내외 상승 예고
이 기사는 8월 11일 오후 3시02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헬스케어 디지털화 트렌드를 주도하는 프리시아(PHR)가 가장 커다란 과제로 꼽혔던 수익 창출에 성과를 내자 월가에서 매수 추천을 쏟아내고 있다.
최근 1년 EBITDA(법인세, 감가상각, 이자 차감 전 이익) 기준으로 흑자 전환을 이뤄낸 데다 매출액과 잉여현금흐름(FCF)이 큰 폭으로 늘어난 데 투자은행(IB) 업계는 크게 반색하는 표정이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프리시아는 4년 연속 의료기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최고의 환자 접수 업체로 평가 받았다. 실제로도 업체는 해당 솔루션 분야에서 리더로 자리매김 했다.
오라클 헬스와 검증된 통합을 달성한 점도 헬스케어 기술 분야에서 업체의 시장 지위를 강화하는 데 한 몫 했다.
프리시아의 경영진은 장기적으로 의료 분야 디지털 전환 솔루션 분야의 시장 기회가 100억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판단한다.
인구 고령화와 암을 포함한 중증 질환자가 늘어나면서 의료비 지출이 날로 커지는 데다 의료 분야의 디지털 전환 등 구조적인 측면에서 이른바 EHR(전자건강기록) 시장의 성장이 유리한 상황이라는 주장이다.
![]() |
프리시아 플랫폼 [사진=업체 제공] |
기존 고객 기반에서 추가 수익이 발생하는 한편 새로운 고객이 늘어나면서 업체의 매출액과 수익성도 중장기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종합 병원에서 중소형 클리닉까지 미국 의료 기관의 디지털화 및 자동화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환자들의 경험을 개선하고, 비용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규제 대응의 필요성까지 구조적인 요인들이 해당 플랫폼에 대한 수요를 자극하는 모양새다.
![]() |
프리시아 주가 추이 [자료=블룸버그] |
인공지능(AI)과 자동화 기술의 도입이 확대되면서 솔루션의 범위가 더욱 넓어지는 데다 제약사 등 B2B 데이터 비즈니스 및 결제 자동화 솔루션에 대한 수요 역시 커지는 모습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 사태 이후 의료비 지출과 디지털 헬스 예산이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도 프리시아의 향후 실적과 주가를 낙관하게 하는 대목이다. 시장 조사 업체들은 의료 디지털 솔루션 시장이 10% 이상 성장을 앞으로 수 년간 지속할 것으로 전망한다.
투자은행(IB) 업계는 앞으로 1년 사이 프리시아 주가가 20% 이상 상승을 연출할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
잭스 리서치는 보고서를 내고 업체의 투자 의견을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비즈니스가 호조를 이루고 있어 실적 전망치가 상향 조정될 여지가 높다는 판단이다. 2006 회계연도 업체의 주당 손실 규모가 0.04달러를 기록해 전년 대비 96.1% 급감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두 자릿수의 매출 성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수익성도 크게 개선, EBITDA와 FCF에 이어 2027 회계연도에는 순이익까지 흑자 전환이 이뤄질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트루이스트는 보고서를 내고 업체에 '매수' 투자 의견과 함께 12개월 목표주가를 34달러로 제시했다. 최근 종가 27.01달러에서 25% 이상 상승 가능성을 예고한 수치다.
2025 회계연도 4분기와 연간 실적을 통해 업체의 강력한 펀더멘털이 확인됐고, 이미 선두를 달리는 시장 입지를 앞세워 매출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는 기대다. 20%에 가까운 매출 성장과 67.14%의 매출총이익률이 비중 확대 전략에 설득력을 실어준다고 트루이스트는 강조한다.
RBC 캐피탈 마켓은 보고서를 내고 프리시아의 투자 의견을 '섹터 수익률'에서 '시장 수익률 상회'로 올리고, 목표주가를 32달러로 내놓았다. 이익률 상승이 두드러지고 고객 당 매출액 성장이 확대되면서 시장 장악력을 보여준다는 의견이다.
파이퍼 샌들러는 보고서에서 프리시아의 투자 의견을 '비중 확대'로 유지한 한편 목표주가를 33달러로 높여 잡았다.
DA 데이비드슨은 프리시아의 목표주가와 투자 의견을 34달러와 '매수'로 유지했다. 업체의 리스크/보상 비율이 균형 잡힌 상태로, 2026~2027 회계연도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특히 네트워크 솔루션 사업 부문의 매출 성장이 전반적인 실적 향상을 주도할 것이라는 의견이다. 당분간 연 매출액 20% 내외의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DA 데이비드슨은 업체의 목표주가를 예상 EBITDA에 23배의 밸류에이션을 적용한 값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주가가 상당폭 저평가됐다는 진단이다.
씨티그룹은 목표주가를 35달러에서 33달러로 낮춰 잡았지만 투자 의견을 '매수'로 유지했고, 캐너코드 제뉴어티 역시 보고서를 내고 목표주가를 35달러에서 34달러로 하향 조정한 한편 '매수' 투자 의견을 유지했다.
업체가 지난 5년간 연평균 27%에 달하는 매출 성장을 이뤄냈고, 2026 회계연도 EBITDA가 큰 폭으로 상승하는 시나리오를 제시한 데 따라 추세적인 주가 상승이 예상된다고 캐너코드는 강조한다.
무차입 상태에서 현금흐름이 견고한 상승 사이클을 연출하는 모습도 투자자들의 매수 심리를 자극하는 데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강세론자들은 프리시아가 2026 회계연도 주당 0.85달러의 순이익을 달성하며 흑자 전환을 이뤄낼 것으로 기대한다. 미국 투자 매체 배런스는 2026 회계연도 주당 0.98달러의 조정 순이익을 올리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이 같은 이익 전망을 근거로 볼 때 프리시아의 주가가 저평가된 상태라는 주장에 설득력이 실린다. 예상 실적을 기준으로 한 선행 주가수익률(PER)이 27배 수준이고, 2027 회계연도 예상 실적을 기준으로 한 밸류에이션은 20배로 떨어진다는 얘기다.
기술적인 관점에서 볼 때 업체의 주가는 2024년 11월부터 2025년 2월까지 79% 단기 급등한 뒤 주춤하는 상황이다. 기술적 분석가들은 주가가 30달러를 돌파하면 2026년 상반기 중 43달러까지 오를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다.
프리시아가 국내 서학 개미들 사이에 큰 관심을 끌지 못하고, 시가총액 16억달러 내외의 소형주에 해당하지만 구독료와 수수료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매출 성장을 이어간다는 점에서 월가는 길게 보고 매수하는 전략이 적절하다고 입을 모은다.
뉴욕증시에서 거래되는 프리시아는 2025년 초 이후 7.23% 상승해 같은 기간 8.88% 오른 S&P500 지수를 소폭 언더퍼폼 했다. 이익 호조를 이룬 만큼 추가 상승 여지가 높다는 데 월가는 한 목소리를 낸다.
업체의 주가는 최근 1년 사이 약 20% 상승했고, 5년 사이에는 9.48% 손실을 기록했다. 최근 1년간 강한 상승 흐름을 탔지만 2021년 2월 기록한 최고치 79.20달러에서 여전히 3분의 1 수준에 머무는 실정이다.
shhw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