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13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즉각 상호 관세 부과를 시행하지 않으면서 시장은 안도 랠리를 펼쳤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42.87포인트(0.77%) 오른 4만4711.43에 마감했고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63.10포인트(1.04%) 상승한 6115.07을 기록해 전고점에 근접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295.69포인트(1.50%) 전진한 1만9945.64로 집계됐다.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 관세 부과 발표에 주목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상호 관세 부과 결정을 발표하면서도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상호 관세의 본격적 부과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가 각 국가의 무역 행태 검토를 마무리하는 오는 4월 1일에나 이뤄질 전망이다.
미국 정부는 부가가치세(VAT)를 관세로 활용하는 국가들을 상호 관세 부과 대상으로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유럽연합(EU)의 경우 20%의 부가세를 적용해 애플과 같은 미국 기업들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즉각 적용하지 않자 시장에서는 그가 협상 수단으로 관세를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때문에 관세가 실질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제한될 것이라는 기대가 제기된다.
대대적인 관세 적용으로 인플레이션을 우려했던 시장 참가자들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국채 수익률은 큰 폭으로 하락했다. 뉴욕 채권시장에서 오후 3기 기준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전장보다 10.8bp(1bp=0.01%포인트(%p)) 밀린 4.524%를 기록했다. 이날 10년물 금리 낙폭은 지난달 15일 이후 최대였다. 정책 금리에 민감한 2년물은 5.6bp 하락한 4.309%를 가리켰다. 채권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 |
뉴욕증권거래소(NYSE)를 바라보고 있는 두려움 없는 소녀상.[사진=로이터 뉴스핌] 2024.07.08 mj72284@newspim.com |
크레셋 캐피털의 잭 애블린 수석투자책임자(CIO)는 "주식 투자자들은 채권시장에서 힌트를 얻고 있다"며 "투자자들은 관세 때문에 놀랄 만큼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비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경제 지표는 강력한 미국 경제를 확인했다. 미 노동부는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PPI)가 한 달 전보다 0.4%, 1년 전보다 3.5% 각각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PPI가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3.2% 오를 것으로 본 월가 전망치를 웃도는 결과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 무역을 제외한 근원 PPI는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3.6% 각각 상승했다. 전월 대비 수치는 시장 전망치에 부합했지만 연간 상승률은 이보다 높았다.
고용시장은 강세를 이어갔다. 노동부는 별도의 자료에서 지난주(8일까지)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1만3000건으로 한 주 전보다 7000건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문가 기대치 21만7000건에 못 미치는 수치다.
이트레이드의 크리스 라킨 전략가는 "PPI는 어제의 뜨거운 소비자물가지수(CPI)를 확인했으며 낮은 또 한 번의 실업수당 청구 건수와 함께 연준이 당장 금리를 내리지 않을 것이라는 그림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S&P500 11개 전업종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원자재와 기술업은 각각 1.71%, 1.52% 뛰며 두드러진 상승세를 기록했다.
특징주를 보면 에너지 기업 셰브론은 2026년까지 20%를 감원하겠다고 밝히면서 0.64% 상승했다. 광고회사 트레이드 데스크는 월가 기대치를 밑도는 1분기 매출 전망을 내놓으며 32.98% 급락했다. MGM 리조트 인터내셔널의 주가는 지난해 4분기 기대 이상의 실적을 공개하고 17.47% 올랐다. 로빈후드 역시 강한 실적에 14.11% 급등했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4.28% 내린 15.21을 기록했다.
mj722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