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뉴욕증시 프리뷰, 미 주가지수 선물 인플레 데이터 앞두고 혼조...워크데이·테슬라↑ VS 옴니콤↓

기사입력 : 2024년12월09일 20:59

최종수정 : 2024년12월09일 20:59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9일(현지 시각) 뉴욕 증시 개장 전 주가지수 선물 가격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다음 주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칠 물가 지표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은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주 미 증시가 혼조세로 장을 마쳤으나 주요 지수가 사상 최고치 근방에 머물며 밸류에이션 부담도 커졌다.

미국 동부 시각 오전 6시 50분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E-미니 S&P500 선물은 전장보다 7.50포인트(0.12%) 내린 6091.50, E-미니 나스닥100 선물은 52.00포인트(0.24%) 빠진 2만1604.75에 거래되고 있다. 반면 E-미니 다우 선물은 30.00포인트(0.07%) 상승한 4만4736.00을 가리키고 있다.

무거운 표정의 월가 트레이더들 [사진=로이터 뉴스핌]

지난주 S&P500과 나스닥 지수는 각각 0.96%와 3.34% 상승하며 신고가로 한 주를 마쳤으나, 다우지수는 0.6% 하락 마감했다.

지난주 발표된 미국의 11월 비농업 고용 보고서가 예상보다 강력했으나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를 희석할 정도는 아닌 것으로 확인되며 미 경제의 연착륙 기대가 커졌고, 증시는 강세 흐름을 이어갔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CME FedWatch)에 따르면, 트레이더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2월 18일(현지 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할 확률을 87.1%로 보고 있다.

세계적인 투자 전략가 제레미 시겔 와튼 스쿨 교수는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모든 것은 연준이 원하는 대로 돌아가고 있다"면서 "오는 18일 FOMC 회의에서 금리가 한 차례 인하될 것으로 생각하지만, 사실 내년에 금리는 두세 번 정도만 인하될 것이라고 본다. 이번 경제 강세는 지속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연준 위원들은 12월 FOMC를 앞두고 통화 정책 관련 발언을 자제하는 '블랙아웃' 기간에 들어섰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들의 관심은 이번 주 발표될 미국의 인플레이션 데이터로 온통 쏠리고 있다. 이번 주 발표될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다음 주 FOMC를 앞두고 연준의 금리 결정에 대한 마지막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우존스 사전 조사에서 전문가들은 11월 CPI가 전년 대비 2.7%, 전월 대비로는 0.3%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10월에는 전년 대비 2.6%, 전월 대비 0.2% 각각 상승한 바 있다.

만일 예상치를 웃도는 수준의 물가 상승세가 나타난다면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 둔화 우려가 제기되며 미 증시를 둘러싼 투자 심리가 냉각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이번 주 유럽중앙은행(ECB)과 캐나다중앙은행(BOE) 등의 통화 정책 회의도 이번 주 예정돼 있다. 유로존 경기가 둔화세를 보이고 있어 금리 인하가 확실시되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금리를 한꺼번에 0.5%포인트 내리는 '빅 컷'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이날은 미국의 10월 도매재고가 발표될 예정이며, 11월 CPI는 이틀 뒤인 11일, 이어 12일에는 11월 PPI가 공개된다.

테슬라 로고 [사진=블룸버그]

한편 이날 중국의 경기 회복 방안으로 홍콩 항셍지수가 막판 2.76% 반등하고 유럽 시장은 상승 출발에서 혼조세로 전환했다. 이날 홍콩 증시의 반등은 오는 11~12일 열릴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통화 완화 정책을 포함한 추가 경기 부양책이 나올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의 닛케이도 0.18% 상승 마감한 반면, 탄핵 불발로 불확실성이 높아진 한국 증시는 2.7% 하락 마감했다.

개장 전 특징 주로는 클라우드 기반 기업용 소프트웨어 업체 ▲워크데이(종목명:WDAY)와 투자운용사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APO)의 주가가 개장 전 각각 10%, 6% 상승하고 있다. 이들 기업이 S&P500에 편입될 것이라는 발표가 호재로 작용했다.

글로벌 광고 업계 3위 ▲옴니콤(OMC)이 4위인 ▲인터퍼블릭 그룹(IPG) 인수를 논의하고 있다는 소식에 인터퍼블릭 그룹의 주가는 13% 급등하고 있는 반면, 옴니콤의 주가는 4% 넘게 하락 중이다.

중국 정부의 재정 부양책 기대 속 미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의 주가도 일제히 오름세다. ▲알리바바(BABA)는 6.5% ▲PDD 홀딩스(PDD)는 10.7% ▲바이두(BIDU)는 5.7% 각각 오르고 있다.

대부분의 대형주와 성장주가 약보합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테슬라(TSLA.O)는 주각 2% 가까이 상승하고 있다.

koinwo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