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부지 착공 목표…2030년 첫 공장 가동
부지조성 착공기간 7년→3년 6개월 절반 단축
"정부·기업이 반도체산업 위한 좋은 사례될 것"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중앙·지방 정부와 기업 등 8개 기관이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의 성공적인 조성을 위해 맞손을 잡았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환경부는 17일 오전 서울에서 경기도, 용인시, 평택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삼성전자와 함께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을 위한 상생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상생협약은 지난해 조성하기로 발표한 용인 국가산단을 신속히 추진할 수 있도록 관계 부처·지방자치단체 등과 협력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됐다.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조감도.[사진=용인시] |
특히 원활한 반도체 공장의 입주를 위해 평택의 송탄 상수원보호구역을 대체 취수원 마련을 전제로 해제하고, 산단과 인근 지역에 용수를 적기에 공급하는 방안 등을 포함했다. 상생협약서 체결 이후 사업 시행자인 LH는 곧바로 산단 계획 승인을 국토부에 신청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용인 국가산단 내 오는 2030년 말 첫 공장 가동을 목표로 관련 절차를 대폭 앞당겨 추진하고 있다. 국가산단은 ▲후보지 발표 ▲예비타당성조사 ▲산단 계획 신청 ▲인허가 협의와 각종 영향평가 ▲산단 지정 ▲토지 보상과 부지 착공 등을 거쳐 지정된다. 이 중 예타·산단 계획·실시설계 등에 대한 용역 통합 발주와 예타 면제 등을 추진해 속도를 높였다.
환경영향평가는 사전컨설팅과 패스트트랙 운영으로 신속히 추진하고, 토지 보상기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해당 토지에 대한 사전 조사와 주민 협의를 계획수립 단계부터 선이행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런 노력을 통해 부지조성 착공까지 기존 7년 이상 걸렸던 시간을 3년 6개월로 절반 이상 단축할 예정이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관계부처·지자체·기업이 원팀으로 협력해 2026년 부지 착공을 목표로 신속하게 추진하고 있다"며 "충분한 기반시설과 정주여건 확보로 반도체 산업 발전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새로운 국가산단 성공모델로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반도체 생산에 막대한 양의 물이 필요하고, 용수공급 시설 설치에도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만큼 세밀한 용수공급 계획을 수립해 속도감 있게 실행하겠다"고 약속했다.
강경성 산업부 1차관은 "이번 상생협약은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과 기업이 우리 반도체 산업을 위해 협업한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며 "용인 국가산단 등을 중심으로 622조원이 투자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전 세계 반도체 산업의 허브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