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문화·연예 패션뷰티

속보

더보기

멀버리, 베이스워터의 20년 히스토리 담아 뉴컬렉션 출시

기사입력 : 2023년05월10일 10:51

최종수정 : 2023년05월10일 10:51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영국 럭셔리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 멀버리(Mulberry)에서 새로운 베이스워터(Bayswater)를 선보인다.

런던 서부 지역의 이름에서 유래한 베이스워터는 2003년 첫 출시 이후 꾸준한 사랑을 받아오며 브랜드의 키 메세지 'Made to last'를 전하는 대표적인 아이템으로 이어져왔다. 시에나 밀러(Sienna Miller), 알렉사 청(Alexa Chung), 리한나(Rihanna), 케이트 모스(Kate Moss)등 2000년대를 빛낸 셀러브리티들이 소장하고 즐겨 들었던 애장품으로 노출되면서 더 큰 인기를 얻게 되었고 이후, 인기 미드 '가쉽걸 (Gossip Girl)' 주인공의 패션아이템으로 대중들에게 어필되면서 지금까지도 지속적인 관심을 받는 베스트 셀러가 되었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컬렉션은 베이스워터의 20주년을 기념해 출시하는 신규 제품으로, 2000년대 르네상스를 멀버리 감성으로 재해석한 컴팩트 사이즈의 이스트/웨스트 베이스워터, 어디든 휴대할 수 있는 숄더백 노스/사우스 베이스워터 토트, 멀티 지퍼 디테일로 넉넉한 수납 공간을 자랑하는 지퍼 베이스워터 토트까지 새로운 3가지 디자인을 선보인다. 또한, 곧 다가오는 썸머 시즌을 겨냥해 라피아 소재의 미니 백도 빼놓지 않았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Laura Morgan, Bayswater in Pigment Blue [사진=멀버리] 2023.05.10 digibobos@newspim.com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Jiashan Liu, Bayswater in Black [사진=멀버리] 2023.05.10 digibobos@newspim.com

한편, 멀버리는 브랜드의 핵심가치인 '지속가능성' 실천을 위해 작년부터 환경 인증을 받은 탄소 중립 가죽으로만 모든 가방을 제작하고 있으며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일환으로 모든 주요 제품에 Life Cycle Assessment(LCA)를 실시하기도 했다. 이를 위해 제품의 수명을 연장해주는 순환 경제 이니셔티브인 '멀버리 익스체인지(Mulberry Exchange)' 프로그램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멀버리 CEO 티에리 안드레타(Thierry Andretta)는 "럭셔리 브랜드로써 시대를 아우르는 컬렉션과 우수한 장인 정신, 합리적인 가격으로 멀버리가 오랫동안 사랑받아 온 것은 굉장히 기쁜 일이며 많은 사람들이 우리가 만든 가방에 관심을 가져주는 것 또한 멋진 일이다. 하지만 앞으로 우리가 더 큰 목표로써 나아가고자 하는 궁극적인 방향은 다음 세대까지 물려줄 수 있는 좋은 가방을 만드는 것이다." 라고 전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베이스워터는 첫 출시 이후 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변함없이 사랑받고 있는 멀버리의 상징이자 'Made to Last' 정신을 가장 잘 구현하고 있는 아이템이다" 라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Alva Claire, Bayswater in Oak [사진=멀버리] 2023.05.10 digibobos@newspim.com

베이스워터 20주년을 기념하는 캠페인 영상은 로난 맥케진(Ronan McKenzie)과 엘리자 콘론(Eliza Conlon)이 협업했고, 릴리 맥메나비(Lily McMenamy), 알바 클레어(Alva Claire), 로라 모건(Laura Morgan)등, 다양성을 나타내는 모델과 베이스워터가 함께 표현한 인간 본연의 솔직한 감정과 모습이 담겨있다. 캠페인 영상과 신규 컬렉션은 5월 10일부터 멀버리 공식 홈페이지와 오프라인 매장에서 만나볼 수 있다.

digibobos@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