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翘"首"以待 "太"想你来——2023"首尔太仓日"活动成功举行

기사입력 : 2023년04월26일 13:34

최종수정 : 2023년04월28일 09:28

纽斯频通讯社首尔4月26日电 2023"首尔太仓日"主题活动25日下午在韩国举行。作为太仓布局韩国的招商"首秀",活动极大拓宽了太仓在韩国的"朋友圈",向与会嘉宾发出"翘'首'以待,'太'想你来"的盛情邀约,持续深化对韩经贸合作。

本次活动由太仓市人民政府主办,并得到了中国驻韩国大使馆、中国贸促会驻韩国代表处、大韩贸易投资振兴公社、韩国中坚企业协会等中韩政商界的鼎力支持,相关机构代表在会上发言。来自韩国各地近50名企业代表参加了此次活动,与会嘉宾高度肯定了太仓的营商环境及高质量发展,部分企业家表示太仓将是未来布局在华投资时重点考察的城市。

中国驻韩国大使馆经济商务处负责人胡晨沛。【图片=记者 周钰涵 摄】

中国驻韩国大使馆经济商务处负责人胡晨沛发表致辞:太仓政府高度重视与韩国的经贸合作,希望今后能进一步推动与韩国在各领域的交流合作,打造地方对韩合作新样板,为中韩经贸合作作出太仓贡献。中国驻韩国大使馆将一如既往发挥桥梁作用,支持两国企业不断深化友好合作,助力双边经贸关系提质升级。

中国贸促会驻韩国首席代表俞海燕致辞。【图片=记者 周钰涵 摄】

中国贸促会驻韩国首席代表俞海燕认为:中韩经贸合作具备牢固基础和实实在在的互补需求,顺应了历史潮流和经济规律,虽因疫情阔别三年,但太仓与韩国之间的友好交流和合作潜力如故,在贸易、投资、第三方市场、科技创新等领域合作共赢可期。

太仓市人民政府副市长王莉萍致辞。【图片=记者 周钰涵 摄】

太仓市人民政府副市长王莉萍在致辞中提出:太仓与韩国之间的合作潜力巨大,将通过本次"首尔太仓日"活动,为两地企业双向投资搭建平台,共同发掘更多市场机遇、投资机遇、增长机遇,不断推动广大韩企与太仓的务实合作。

大韩贸易投资振兴公社海外投资室室长许珍原致辞。【图片=记者 周钰涵 摄】

大韩贸易投资振兴公社海外投资室室长许珍原表示:"首尔太仓日"活动意义重大而深远,不仅为出席活动的所有人士提供了新的视角,让太仓走进了韩国企业的视野,同时也为韩国和太仓之间合作关系进一步升级做出新的贡献。

韩国中坚企业协会独立理事潘元益致辞。【图片=记者 周钰涵 摄】

韩国中坚企业协会独立理事潘元益发表讲话:韩国现有5000多家中坚企业,担负起了全国10%的就业岗位,占全国出口总额的17.7%。中国与韩国始终保持着友好经贸往来,随着中国经济的迅速发展,具备国际竞争潜力的韩国中坚企业群体更应"走出去",互相学习,取长补短,扩大对华投资,实现合作共赢。

太仓代表企业——韩国世钟工业株式会社社长金益锡致辞。【图片=记者 周钰涵 摄】

太仓代表企业——韩国世钟工业株式会社的金益锡社长更是现身说法,表达对了太仓深厚的情谊:"刚蒸的米饭最香,保存越久的酒越醇,相交越久的朋友越真。"世钟集团2011年在太仓设立公司,因太仓政府极速、极优、高效的支持,从建厂到生产仅用时8个月。十余年的相遇、相知、相合,世钟集团如今已和太仓成为了敞开心扉的朋友,并邀请韩资企业家一同前往,感受太仓市高质、高效的服务。

太仓市招商局代表在活动上进行投资环境推介。【图片=记者 周钰涵 摄】

活动上,太仓市招商局代表进行了投资环境推介,详细介绍了太仓的区位交通、产业特色、资源要素、政策服务、对韩合作等。太仓将积极推进营商环境建设,亲商爱商,协助韩国企业在中国看准市场新动向、在太仓寻找合作新商机。

参加活动的韩国企业涉及高端制造、医疗器械、半导体设备等行业,企业家代表们纷纷被太仓的营商环境吸引,积极提问交流,电子光学仪器、医美保健品等数个优质项目更是决定二季度赴太实地考察,洽谈投资意向。

韩国是中国第二大贸易伙伴国,也是太仓第五大外资来源地。太仓现有韩资企业80余家,集聚了LG、平和精工、世钟工业、和承汽配等知名企业,投资总额近6亿美元,注册外资2.38亿美元,其中,共11家企业投资总额超1000万美元。太仓港现已开通了韩国仁川、釜山、木浦、光阳等港口直航,每周约有2~3班航线直达韩国。2022年,太仓与韩国累计进出口8.38亿美元,同比增长6.7%。

2023"首尔太仓日"主题活动与会嘉宾合影留念。【图片=记者 周钰涵 摄】

从春天出发,这是一个全新的开始。太仓将把对韩合作作为长期的发展战略,积极抢抓长三角一体化等重大机遇,进一步推动对韩合作在半导体、新材料、高端装备等领域的全方位拓展提升,着力营造市场化法治化国际化营商环境,健全常态长效服务机制,提供专业化品质化服务,加速韩资企业在太集聚。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덕수, 대선 출마 여부에 "노코멘트"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맞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 대행은 2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양측이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한국을 지금의 모습으로 만드는 데는 미국의 역할이 매우 컸다"며 "한국전쟁 이후 미국은 원조, 기술이전, 투자, 안전 보장을 제공했다. 이는 한국을 외국인에게 매우 편안한 투자 환경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 대행은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 축소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2025.03.24.gdlee@newspim.com 한 대행은 "협상에서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와 상업용 항공기 구매 등을 포함해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며 "조선업 협력 증진도 미국이 동맹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FT는 "비관세 장벽을 낮추는 방안도 논의될 수 있다"고 한 대행이 언급했다고 전했다. 한 대행은 협상 과정에서 "일부 산업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면서도, 양국 간 무역의 자유가 확대되면 "한국인의 이익도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FT는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여부에 대해서는 사안에 따라 재협상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한편, 한 대행은 6·3 대통령선거 출마 여부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며 "노코멘트"라고 답했다. nylee54@newspim.com 2025-04-20 13:43
사진
호미들 중국 한한령 어떻게 뚫었나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의 '한한령'(限韓令, 중국의 한류 제한령)이 해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가 중국에서 공연을 한 사실이 알려지며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18일 베이징 현지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3인조 래퍼 '호미들'이 지난 12일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서 공연을 펼쳤다. 반응은 상당히 뜨거웠다. 중국인 관객들은 공연장에서 호미들의 노래를 따라 부르기도 하고, 음악에 맞춰 분위기를 만끽했다. 공연장 영상은 중국의 SNS에서도 퍼져나가며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국적 가수의 공연은 중국에서 8년 동안 성사되지 못했다.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BTS도 중국 무대에 서지 못했다. 때문에 호미들의 공연이 중국 한한령 해제의 신호탄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호미들 공연이 성사된 데 대해 중국 베이징 현지 문화콘텐츠 업계 관계자들은 공연이 소규모였다는 점과 공연이 성사된 도시가 우한이었다는 두 가지 요인을 지목했다. 호미들이 공연한 우한의 우한칸젠잔옌중신(武漢看見展演中心)은 소규모 공연장이다. 호미들의 공연에도 약 600여 명의 관객이 입장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에서 800명 이하 공연장에서의 공연은 정식 문화공연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 중국에서는 공연 규모와 파급력에 따라 성(省) 지방정부 혹은 시정부가 공연을 허가한다. 지방정부가 허가 여부를 판단하지 못할 경우 중앙정부에 허가 판단을 요청한다. 한한령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의 문화공연은 사실상 금지된 상황이었다. 호미들의 공연은 '마니하숴러(馬尼哈梭樂)'라는 이름의 중국 공연기획사가 준비했다. 이 기획사는 공연허가가 아닌 청년교류 허가를 받아서 공연을 성사시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우한시의 개방적인 분위기도 공연 성사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한에는 대학이 밀집해 있으며 청년 인구 비중이 높다. 때문에 우한에는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다. 게다가 젊은 층이 많은 만큼 우한에서는 실험적인 정책이 시행되어 왔다. 우한시는 중국에서는 최초로 시 전역에서 무인택시를 운영하게끔 허가하기도 했다.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파격적인 정책이 발표되는 우한인 만큼, 한한령 상황임에도 호미들의 공연이 성사됐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베이징의 한 문화업체 관계자는 "우한시가 개방적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호미들의 공연은 소극적인 홍보 활동만이 펼쳐지는 한계를 보였다"며 "공연기획사 역시 한한령 상황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현지 문화콘텐츠 업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한국의 최정상급 가수가 대규모 콘서트를 개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어서 빨리 한한령이 해제되기를 기대하고 있지만, 한한령이 해제될 것이라는 시그널은 아직 중국 내에서 감지되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호미들의 중국 우한 공연 모습 [사진=더우인 캡처] ys1744@newspim.com 2025-04-18 13:1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