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뉴스핌 채널 추가
뉴스핌 채널 추가 안내

[종합] 미국 10월 CPI 상승률 9개월만 최저...연준 '속도 조절' 기대감↑

기사입력 : 2022년11월10일 23:35

최종수정 : 2022년11월11일 01:22

헤드라인 CPI 상승률 7.7%...1월 이후 '최저'
"인플레·연준 정점 가능성 보여주는 결과"
금리 선물 시장 12월 0.50%p 인상 가능성 50%→80%

[휴스턴=뉴스핌] 고인원 특파원= 지난달 미국의 물가 상승세가 예상보다 둔화되며 8% 아래로 내려섰다. 전년대비 상승률은 올해 1월 이후 최저로 떨어졌다.

마침내 미국에서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수치가 발표됨에 따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속도 조절론에도 무게가 실릴 것으로 보인다.

미 노동부는 10일(현지시간) 10월 헤드라인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7.7%, 전월 대비로는 0.4% 올랐다고 밝혔다. 전년비 7.9%, 전월비 0.6% 상승을 예상한 시장 전망치(월스트리트저널, 다우존스)도 모두 밑돌았다. 

미국 맨해튼 식료품점에서 구매할 먹거리를 고르는 사람들 [사진=로이터 뉴스핌]

9월 CPI가 전년 대비 8.2% 올랐던 것이나 6월 9%를 찍었던 데 비하면 확연하게 둔화된 것이다. 전년비 상승률(7.7%)은 올해 1월 이후 9개월 만에 최저치기도 하다. 마침내 미국에서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었을 것이란 기대에 힘을 실어주는 결과다.

10월 CPI는 전월 대비로도 0.4% 오르는 데 그쳤다. 9월과는 동일한 상승률이다.

변동성 높은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 수치 역시 모두 시장 전망치를 밑돌아 인플레 정점 기대감을 키웠다.

지난달 근원 CPI는 전년 대비 6.3%, 전월에 비해서는 0.3% 올랐다. 9월의 수치(전년비 6.6%, 전월비 0.6%)나 시장 전망치(6.5%, 0.5%)를 모두 밑돌았다.

넷워스트의 존 브릭스 애널리스트는 CNBC에 "(이날의 수치는) 인플레이션 정점, 연준 (긴축) 정점 가능성을 보여준다"면서 "연준이 한번에 0.75%포인트 올리는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단행하기보다는 속도 조절에 나설 것"이라고 평가했다.

에너지와 식품지수(food at home index) 물가 오름세가 다소 누그러졌으나, 주거비는 여전히 가파른 오름세를 이어가며 전체 수치를 견인했다.

지난달 에너지 물가(휘발유, 천연가스, 전기세 등 포함)는 전년 동월보다 17.6% 올랐다. 9월 19.8% 오른데 비하면 상승세가 다소 둔화했다.

식품지수 역시 전년 동월보다 12.4% 오르며 40년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던 8월(13.5%)에서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다만 주거비는 여전히 가파른 오름세를 이어가며 전체 수치를 견인했다. 주거 비용은 전월보다 0.8% 올라 1990년 8월 이후 최대폭 상승을 기록했고, 전년 동월 대비로도 6.9%로 여전히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 미 주가지수 선물·대형 기술주 급등...국채금리는 속락

예상보다도 둔화한 인플레이션 수치에 시장도 환호했다. 

미 증시 개장 전 0.1~0.3% 소폭 오르던 주가지수 선물도 일제히 상승폭을 확대했으며, 장기 금리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대형 기술주도 급등하고 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트레이더들 [사진=로이터 뉴스핌]

미 동부시간 오전 9시 10분 기준 다우존스지수 선물은 760포인트 이상 급등하며 2% 넘게 상승폭을 확대했고, S&P500과 나스닥100 선물 역시 각각 3~4%대 급등 중이다. 

금리 인상 정점 기대에 대형 기술주가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엔비디아(NVDA)와 테슬라(TSLA)는 각각 5% 이상, 세일즈포스(CRM)와 애플(AAPL)은 각 3~4% 오르고 있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CPI 발표 직후 18bp(1bp=0.01%포인트) 급락한 3.946%까지 풀썩 떨어지며 4% 아래로 밀렸다. 연준의 금리에 보다 민감한 2년물 금리 역시 23bp 이상 하락하며 4.395%를 가리켰다.

◆ 금리 선물 시장 12월 0.50%p 인상 가능성 80.6%, 내년 3월 금리 전망치 4.75~5%

시장에서도 연준의 속도 조절 가능성을 빠르게 반영하고 나섰다. 

현재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12월 기준금리를 50bp(0.75%) 인상할 가능성을 80.6%로 반영하고 있다. 발표 전 52%이었던 데서 급등한 것이다. 

한국시간 기준 10월 28일 오후 기준 연방기금 금리선물 시장에 반영된 금리 인상 가능성 [사진=CME그룹 데이터] 2022.10.28 kwonjiun@newspim.com

또 이제 선물시장 트레이더들은 연준이 내년 3월까지 기준금리를 4.75~500%로 끌어올릴 것으로 반영(47.7%)하고 있는데, 발표 전 5.00~5.25%(45.1%)까지 인상이 유력했던 되서 25bp 낮아진 것이다.

미 동부시간 기준 11월 10일 오전 기준 연방기금 금리선물 시장에 반영된 금리 인상 가능성 [사진=CME그룹 데이터] koinwon@newspim.com

koinwo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반도체 특구지정에 몸값 치솟는 '한숲시티'…일주일새 1억2000만원 '쑥'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경기도 용인시 남사읍·이동읍 일대가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예정지로 선정되면서 일대 주변에 유일한 대단지 아파트 '한숲시티'의 몸값이 치솟고 있다. 일주일 사이 매도 호가가 수천만원 이상 오르고, 직전 거래보다 1억원 이상 높은 가격에 거래가 성사되기도 했다. 기존에 나와있던 매물들도 집주인들이 거둬들이고 있어 추후 가격이 더 올라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대형호재 소식에 당분간 한숲시티 가격은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사업계획의 큰 틀만 잡힌 초장기인데다 아직까지 인프라가 부족해 섣불리 매수에 나서는 것은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경기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에 위치한 'e편한세상 용인한숲시티' 가격은 당분간 꾸준히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경기도 용인시 남사읍·이동읍 일대에 위치한 한숲시티. 2023.03.24 min72@newspim.com ◆ 15일 정부 발표 이후 한숲시티 거래 20건…가격 최대 1억2000만원 상승 e편한세상 용인한숲시티는 67개동, 6800가구로 이뤄진 대단지 아파트로 2018년 준공됐다. 하지만 2015년 분양 당시 전체 가구의 절반 규모가 미분양 되면서 분양가에 '마이너스프리미엄'이 붙기도 했다. 부족한 인프라와 용인 도심지와도 떨어져있어 대단지 아파트임에도 가격이 오르지 않아 '한숨시티'라는 오명을 얻기도 했다. 하지만 불과 1주일새 분위기가 급반전됐다. 정부가 지난 15일 발표한 첨단국가산업단지 조성계획 덕이다. 정부는 용인시 남사읍·이동읍 일대에 2042년까지 300조원을 투자해 첨단반도체 제조공장 5개를 구축하는 등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한숨시티'는 일약 투자처로 재탄생하게 됐다. '미운오리새끼'에서 '백조'로 거듭난 셈이다. 실제 15일 발표 이후 대림한숲시티는 활발한 거래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루에만 최다 20건의 거래가 이뤄지는 등 일주일 사이 거래가 크게 늘고 있다. 거래면적별로 보면 ▲전용97㎡ 1건 ▲전용90㎡ 2건 ▲전용84㎡ 10건 ▲전용59㎡ 4건 ▲전용44㎡ 3건 등이다. 거래 가격도 직전 거래보다 최대 1억2000만원 이상 뛰었다. 한숲시티 5단지 전용 84㎡ A타입의 경우 이달 2일 3억3500만원에 거래된 이후 지난 17일 4억5500만원에 손바뀜됐다. 약 2주만에 1억2000만원 가격이 오른 것이다. 4단지에선 전용84㎡ A타입이 지난 18일 4억35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 1월 3억2500만원에 거래된 이후 1억1000만원 올랐다. 이처럼 가격이 급등세가 나타면서 집주인들은 매물을 다시 거둬들이고 있다. 추후 교통이 발달하고 인프라가 들어서는 등 개발이 이뤄질 경우 집값이 더 높아질 수 있단 계산에서다. 산단 예정지 인근인 남사읍·이동읍에 등록된 매물은 지난 15일 577건에서 이날 기준 393건으로 47% 가량 줄었다. 유일한 아파트 단지인 만큼 희소성이 높아 호가도 크게 뛰었다. 인근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문의는 많이 오는데 집주인들이 호가를 많이 올려서 거래를 망설이는 경우도 있다"면서 "대형 호재인 만큼 1000만~2000만원 수준이 아니라 5000만원 이상은 기본으로 뛰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경기도 용인시 남사읍·이동읍 일대에 위치한 한숲시티에 현수막이 걸려있다. 2023.03.23 min72@newspim.com ◆ 20년 장기 프로젝트…"변수 많아 매수시 유의해야" 사업계획의 큰 틀이 잡힌만큼 구체적인 계획이 발표될 때마다 한숲시티의 몸값은 더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산단이 조성되고 대중교통이나 도로확장 등 교통인프라와 편의시설 등이 들어서고 인근에 아파트단지가 들어설 경우 가치는 더 높아질 전망이다. 부동산 관계자는 "교통이 불편하고 아파트 단지만 덩그러니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직장이 가까운 경우 투자와 실거주 목적으로 매수한다면 나쁘진 않을 것"이라며 "평택같은 경우도 삼성전자가 들어선 뒤 가격이 많이 올라온 것처럼 (산단 예정지 인근도)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20년 이상 소요되는 대형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인 만큼 장기적으로 변수가 많아 섣부르게 매수에 나서는 것은 주의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산단이 조성되는 2042년이면 지금은 신축인 한숲시티가 노후아파트가 되고 신축 아파트들이 들어서면서 선택지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확실한 호재에 가격이 올라가는 추세지만 다양한 규제와 변수들이 생길 수 있고, 공사기간이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면서 "10년 재건축도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데 20년 뒤 상황을 예측하고 투자한다는건 쉽지 않은 선택"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 부동산 시장 상황까지 종합해 볼 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가격 상승이 멈추고 조정시기가 올 것"이라면서 "인근에 인프라가 갖춰지고 개발 밑그림이 어느정도 드러난 뒤 매수에 나서는 것도 늦지 않다"고 덧붙였다.    min72@newspim.com 2023-03-24 08:10
사진
"치킨 비싸서 어디 먹겠나"...'실적 쇼크' 교촌치킨, 3000원 올린다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는 내달 3일부터 소비자 권장 가격을 최대 3000원 인상한다고 24일 밝혔다. 교촌치킨의 이번 가격 조정은 품목별로 500~3000원 사이로 진행된다. 주요 한마리 및 부분육 메뉴는 3000원 인상되며 이외 메뉴들은 사이즈 및 기존 가격대에 따라 500원~2500원 오른다. 블랙시크릿 등 일부 신제품은 가격 조정 없이 동결된다. 교촌치킨 로고. [사진= 교촌에프앤비] 교촌은 가맹점 수익 구조가 악화돼 이번 가격 조정을 결정했다. 2014년 이후 10년간 주요 원자재 가맹점 납품가를 동결했지만 분담비용이 상승하면서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78%를 기록하는 등 본사 지원이 한계에 부딪혀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는 설명이다. 또 교촌은 붓으로 소스를 바르는 조리과정으로 소요되는 인건비가 여타 치킨업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진다. 교촌에프앤비 관계자는 "누적된 비용 상승 부담으로 불가피하게 이번 가격 조정을 결정하게 됐다"며 "고객 여러분께 더 나은 품질과 서비스로 보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촌은 이번 가격 조정과 함께 반마리 세트 메뉴 등 가성비 메뉴들을 출시해 소비자 가격 선택권을 넓힌다는 방침이다. romeok@newspim.com 2023-03-24 10:5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