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호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기업가 정신으로 대표되는 창업은 국가와 시대의 문화, 사회, 경제, 정책적 환경의 영향을 받아 성장하는 기업이자, 경제를 견인하는 고성장 벤처의 태동이며 생존과 성장을 위한 우산이기도 하다. 이런 이유로 많은 국가들이 경제발전의 핵심 정책으로 '창업활성화'를 꼽고 있고 특히 성장 한계에 봉착한 국가들일수록 경제성장 한계 극복의 가능성을 창업에서 찾는다.
창업생태계는 도시, 국가, 시대상황별로 다양하며 이를 분석하고 정립하는 지표도 다양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정책, 자금, 문화, 인적자원, 시장 영역 등으로 구성한 Isenberg(2010)의 모델이 많은 창업생태계 지표의 개념적 기반이 되고 있다.
이성호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이를 토대로 개발된 국제적 창업생태계 지표로는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World Bank Doing Business, Global Entrepreneurship&Development Index, OECD Entrepreneurship at Glance, Startup Genome 등이 있고 국내 지표로는 아산나눔재단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개발한 연구, KDB 벤처지수 등이 있다.
아산나눔재단과 STEPI의 2021년 연구에 의하면 정부의 적극적인 창업지원 정책과 투자시장 확대를 노력으로 외형적 성장세는 뚜렷하지만 기술개발을 사업화로 연계하는 역량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대중화'를 목표로 창업정책 다변화를 모색하며 창업의 양적 확산 성과를 내실화 및 고도화로 이어가는 것도 여전한 숙제다.
또한 정부 창업지원 예산의 78%가 예비, 초기 창업단계에 집중돼 '죽음의 계곡' 위기를 겪는 3~7년차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생존율과 성장잠재력이 높은 고학력 전문 창업과 첨단기술 창업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는 것도 고민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공급자 중심의 정책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수년간 계속 됐지만 기업이 체감하는 행정상의 불편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런 부분들을 보완한다면 새로운 기회와 가능성의 지평을 열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스타트업 지놈은 글로벌 도시 창업생태계 지표를 만든 대표적인 혁신 정책 자문 및 연구기관으로 2022년 기준 45개 이상 국가, 280개 이상 도시의 300만개 이상의 기업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지표에 따르면 서울은 270여개 도시 중 2020년 20위에서 2021년에는 16위로 상승했고 올해는 기록적인 10위를 차지하며 눈에 띄는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서울이 '창업하기 좋은 10대 도시' 중 하나로 선정된 이유는 첫째로 220조가 넘게 평가된 창업생태계 가치를 들 수 있다.
2021년에 새로 등재된 유니콘 기업 7개(두나무, 빗섬, 직방, 마켓 컬리, 당근마켓, 리디)를 포함해 한국의 유니콘 기업 18개 중 15개가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점, 쿠팡의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상장 등이 서울의 창업 생태계 확장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둘째로, 서울 창업생태계의 주요 산업 구성이 진화하고 있음을 꼽을 수 있다. 스타트업 지놈은 서울의 강점 산업으로 2020년은 게임과 생명과학, 2021년은 게임, 생명과학 외에 AI와 빅데이터, 2022년에는 AI, 빅데이터 외에 스마트 제조 및 로봇산업을 꼽았다. 이처럼 신기술, 신산업 중심으로 발전하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반면, 작은 국내 시장규모와 특허권(IP)의 사업화 부족으로 '시장진출' 부문은 계속해서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국내시장의 한계는 글로벌 진출로 극복할 수 있지만 특허권의 사업화 및 상용화는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할 과제이다.
아울러 기술인재(Tech Talent)의 스타트업 근무경험 부족과 고급개발인력의 부족은 지속적인 약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불어 스타트업 지놈은 창업생태계 분석시 생명과학 산업을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는데, 생명과학 인재나 기초연구성과에 대한 서울의 경쟁력은 미흡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서울시 역시 자체적인 전략을 수립해 추진 중이다.
2021년 서울투자청을 설립해 해외자금조달 및 투자 유치를 강화하고, 대중견기업과 스타트업의 전략적 협력(오픈이노베이션)을 추진하며 홍릉(바이오허브), 여의도(핀테크랩), 양재(AI허브), G밸리(미래지향형 첨단기술 복합단지), DMC(미디어 및 엔터) 등 기술 및 산업 클러스터의 형성 및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2019년에 시작해 매년 9월에 개최되고 있는 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인 Try Everything 역시 전세계 창업가, 투자자들이 교류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네트워킹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제 서울시는 창업정책 수립 시 산‧관‧학의 연계를 고민해야 한다. 미국의 실리콘밸리, 보스턴밸리, 샌디에이고밸리와 4차 산업혁명을 명명한 독일, 중국 등의 사례는 산관학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한국의 대학들도 과거 미국 대학들이 그랬듯이, 교육, 연구, 봉사를 넘어서 고부가 가치창출 및 기업가정신 함양의 장으로 변모하는 시대이다. 고학력 인재 창업, 첨단기술창업의 저변 확대, 생명과학 분야의 미흡한 기초연구성과를 감안할 때 '학'을 중요하게 활용하는 것이 서울시 창업 정책의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가 계속 강조하는 '플랫폼' 개념의 도입이 절실하다. 플랫폼을 통해 서울 대학들의 모든 잠재 인적 자원을 연계할 수 있고, 이러한 연계가 향후 서울 창업생태계 발전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
※ 외부 필진 기고는 본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