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기대인플레 진정시켜야 소비자물가 잡힌다"
[서울=뉴스핌] 정경환 기자 = 기대인플레이션이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므로, 물가 안정을 위해서는 최근 경제주체들 간의 물가불안 심리를 안정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23일 '기대·체감 인플레이션과 소비자물가와의 관계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생필품 가격과 임금 그리고 환율 등 가격변수 불안정으로 경제주체들이 향후 예상하는 소비자물가 수준이 빠른 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행의 올해 6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9%로 2012년 3월(4.1%)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대인플레이션은 향후 1년간 물가상승률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전망, 체감인플레이션은 지난 1년간 물가상승률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주관적인 인식을 뜻한다. 한국은행이 월별로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한경연은 최근 고온·가뭄·폭우 등 기상이변으로 농산물 작황이 좋지 않고, 추석 물가까지 가세하면서 경제주체들의 물가 불안 심리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관측했다.
이에 한경연은 2013년 1월부터 2022년 6월까지의 월간자료를 이용해 기대인플레이션과 소비자물가와의 관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소비자물가와 기대인플레이션 사이의 상관계수는 0.76으로 두 변수 간의 밀접성이 높았으며, 기대인플레이션이 1%p 상승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0.67%p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기적(전기 내생변수인 소비자물가를 통한 동태적 효과까지 감안)으로는 기대인플레이션이 1%p 오를 경우 소비자물가는 2.75%p 상승했다.
기대인플레이션과 향후 소비자물가 전망. [자료=한국경제연구원] |
한경연은 향후 기대인플레이션이 추석이 있는 9월을 정점으로 둔화되는 것으로 가정한 후 소비자물가를 전망해 봤다. 그 결과, 소비자물가는 기대인플레이션이 진정된다면 9월 7.0%를 정점으로 당분간 5% 후반에서 6% 후반대로 급등세가 꺾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체감인플레이션과 실제 인플레이션(소비자물가)이 기대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체감인플레이션과 실제 인플레이션으로 기대인플레이션을 설명하는 모형을 추정했다.
추정 결과에 따르면, 체감인플레이션이 1%p 올라가면 기대인플레이션은 0.66%p 높아지는 반면, 실제 인플레이션이 1%p 올라가는 경우 기대인플레이션은 0.06%p 높아지는 데 그쳤다. 한경연은 소비자들의 기대인플레이션 형성 과정에 있어서 체감인플레이션의 영향이 매우 큰 것을 의미한다고 풀이했다.
한경연은 기대인플레이션의 소비자물가 영향력이 크므로, 기대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기 위한 체감물가 안정 대책이 효율적인 물가안정대책이라고 봤다.
이를 위해 돼지고기 등 소비빈도가 높고 장바구니 물가와 관련이 있는 생활물가 품목의 가격 안정을 위한 유통구조 개선, 소비 가중치가 높은 품목에 대한 정부 비축물량 방출, 할당관세 적용 확대 그리고 한시적 소비세 인하까지도 필요 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추석 이후 물가 급등세가 진정될 것으로는 보이나, 자원·곡물에 대한 자국우선주의 심화, 기후변화로 인한 작황여건 악화 등 글로벌 공급교란 요인이 여전하기 때문에 고물가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그러면서 "체감물가에 영향을 주는 핵심품목에 대한 수급 안정으로 인플레 기대심리를 진정시키는 것이 물가 안정 대책의 핵심"이라고 조언했다.
ho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