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조재완 기자 = '인테그랄 액티브 스티어링', '드라이빙 어시스턴트 프로페셔널', '파킹 어시스턴트 플러스', '히트 컴포트 패키지', '소프트 클로징 도어' 그리고 'M알칸타라 앤트러사이트 헤드라이너'….
지난달 자동차팀으로 발령난 뒤 첫 보도자료를 열어 봤다. BMW가 출시했다는 신차 설명서였다. 글의 절반 이상이 외국어였다. 색상 설명은 더 가관이다. '스카이스크래퍼 그레이, 산레모 그린, 포르티모 블루, 인디비주얼 프로즌 탄자나이트 블루'. 차라리 영어로 쓰지 그랬냐는 실소가 터져 나왔다.
조재완 산업부 기자 |
최근 출시된 쌍용자동차 신차 토레스 소개서를 두고 조롱섞인 반응이 나오기도 했다. 북한 노동신문에 차량 소개 기사를 싣는다고 가정하면, 순우리말로 번역하는 데만 하루가 꼬박 걸릴 것이란 지적이 인터넷에 떠돌았다.
운전경력이 꽤나 길다는 주변 지인들에도 차량 설명서를 보여줬다. 아니나 다를까 자동차업 종사자가 아니라면 누가 이해하겠냐는 웃음기 섞인 반응이 나왔다. 한 업계 종사자는 사뭇 진지한 목소리로 "정말 웃어넘길 일이 아니다"라며 전기차 사례를 들기도 했다.
전기차 사고가 잦은 데는 복합적인 이유가 있지만,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낮은 이해도도 한몫 한다. 전기차는 '도로를 질주하는 아주 예민한 대형 전자제품'이라는 것이다. 차량 구매자들에게 친절한 용법과 안전 교육을 시켜주진 못 할 망정, 불필요한 용어로 혼란을 줘선 안 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어느 정도 과장된 측면이 있지만 고개를 끄덕이게 했다.
왜 이렇게 불친절한 걸까. 업계 관계자들에게 의견을 물었다. 대체로 뻔한 답변이 돌아온 가운데 "외제스러운 것이 곧 마케팅 아니겠냐"는 의견도 있었다. 한글로 풀어 친절하게 설명하면 세련미가 사라진다는 뉘앙스다.
교육부가 추산한 비문해 성인 인구는 대략 500만 명. 성인 10명 중 1명은 영어는 커녕 한글을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는다. 여기에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을 호가하는 자동차가 이제 필수재로 자리잡은 시대 아닌가. 운전 면허 취득인구는 2500만 명에 육박한다. 자동차 사용법 하나 익히려면 번역기를 돌려야 한다는 우스갯소리가 가볍게 들리지 않는 이유다.
제조사들은 자동차 편의사양이라며 온갖 기술 용어들을 쏟아내는데, 정작 누구를 위한 편의라는 것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제대로, 다시 써주세요."
choj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