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버려지는 유출 지하수로 인한 연간 350억원 규모 하수 비용을 아낄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라인이 마련됐다.
14일 서울시에 따르면 건물 신축, 지하철공사 때 나오는 유출지하수의 활용 및 관리방안을 담은 '서울시 유출지하수 활용 가이드라인'이 전국 최초로 제작돼 온라인에 공개됐다.
![]() |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서울특별시 유출지하수 활용 가이드라인 표지 [자료=서울시] 2021.06.14 donglee@newspim.com |
'지하수법'에 따라 건축물의 경우 하루 30톤, 지하철의 경우 하루 300톤 이상의 유출지하수가 발생하면 건축물 등을 설치하려는 자는 유출지하수 이용계획을 수립해 구청장에게 신고하고 대책을 시행해야 한다.
하지만 관련 매뉴얼(안내서)이 없고 사용 가능한 유출지하수의 수질기준도 없어 법적 절차를 밟아야하는 건축주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지하수 전문가와 지하수법 관리부처인 환경부의 자문을 얻어 이번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서울시 유출지하수 활용 가이드라인에는 어떤 절차를 거쳐야 유출지하수를 사용할 수 있고 어떤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지 기준, 방법, 관련 법령 등을 체계적으로 담고 있다. 특히 시 자체적으로 용도별 수질기준을 정립해 실제 현장에서 수질기준을 적용하는데 혼란이 없도록 했다.
유출지하수 사용용도로 소방용, 청소용, 조경용, 공사용, 화장실용, 공원용, 냉난방용 등을 소개하고 각 용도별 수질기준도 제시했다. 음용, 생활용, 농어업용, 공업용은 지하수법에 따른 수질기준으로 하고 하천유지용수는 '하수도법' 및 '물환경보전법' 규정 상 청정지역 배출기준에 준해 권고 수질기준을 설정했다.
현행 '지하수법'에서는 유출지하수 활용 수질기준이 모호하다. 서울시는 이용 시민들의 지속적인 안전을 위해 기존 지하수의 수질기준을 토대로 최초 이용계획 신고 시 수질기준을 명확히 했을 뿐만 아니라 정기적인 수질검사를 권고하는 기준안을 마련했다.
유출량별, 주변 입지별 이용방안도 안내한다. 1일 50톤 이하일 경우 생활용수, 51~100톤의 경우 소방·도로청소용수로 활용할 수 있다. 하천 주변 500미터 이내일 경우 하천유지용수, 대형건축물 주변은 건물의 냉난방용수, 대규모 개발지역이면 공사용수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 건축주 등이 이용계획을 수립할 때 각 공사 단계별(계획·설계~준공 이후)로 어떤 점을 고려해야하는지를 가이드라인에 담았다. 관련 법령 준수여부, 안전한 이용을 위한 관리방안 등을 현장상황에 맞게 미리 자체적으로 점검할 수 있게 했다.
예를 들어 공사 이전엔 지반을 정밀조사해 유출량을 예측하고, 저감공법을 검토한다. 공사 중엔 유출량을 측정하고 수질조사를 한 후 이용계획을 마련한다. 공사 이후엔 주변 영향과 활용방안 등을 검토해 이용계획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서울시가 지난해 유출지하수를 양천공원 내 실개천, 녹지용수 등으로 재활용한 사업과 서남병원에 발생한 유출지하수를 민방위비상급수시설(음용수)로 지정해 비상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던 것 등을 비롯해 다양한 사례를 담았다. 또 대부분 건천(乾川)인 서울시 하천에 유지용수로 활용한 지하철, 전력구, 통신구 등의 사례도 소개됐다.
서울시는 이번 가이드라인으로 유출지하수의 낭비를 막고 하수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하수도로 버려졌던 유출지하수를 활용했다면 하수도요금은 96억원, 하수처리비용은 259억원을 절감할 수 있었던 것으로 서울시는 추정했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건물을 신축하려는 민간기업, 통신구·전력구·지하철·터널 공사 등을 시행하는 공공기관을 비롯해 시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서울시 홈페이지와 물순환정보공개시스템 누리집에서 게시한다. 정보가 필요한 시·자치구, 기관, 업체 등이 참고할 수 있도록 책자도 배포한다.
최진석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서울시 유출지하수 활용 가이드라인은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오랜 고민과 노력 끝에 나온 결과물"이라며 "서울시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시민의 애로사항을 해결함과 동시에 수자원 활용 다변화 모색 등, 공공에서 민간부문까지 수자원 활용 정책 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최 국장은 "올해 서울시는 유출지하수활용 사업을 클린로드·쿨링포그, 생태수 경관, 하천유지용수 등으로 다양하게 확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dong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