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화장품 시장 규모, 32조 추정...코로나19 영향
[서울=뉴스핌] 정윤영 기자 = 국내 뷰티 업계가 신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코로나19와 경쟁 심화 등 영향으로 국내 뷰티 시장이 정체되자 관련 기업들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려는 노력으로 풀이된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뷰티 기업들이 본업에서 벗어나 제약 바이오 신재생 에너지부터 인공지능(AI) 플랫폼 그리고 애견산업까지 사업을 강화에 나서고 있다.
[서울=뉴스핌] 정윤영 기자 = 2021.03.11 yoonge93@newspim.com |
KB증권은 지난해 국내 화장품 시장 규모가 32조4000억원으로 전년보다 7% 가량 감소한 것으로 추정했다.
◆ 한국콜마 '제약·바이오' vs 코스맥스 '신재생 에너지·AI'
대표적인 먹거리 확장의 예로는 화장품 ODM(제조업자개발생산) 업계 쌍두마차인 한국콜마와 코스맥스를 꼽을 수 있다.
지난해 국내 화장품 업계가 극심한 경영난을 호소한 가운데 이들 기업은 신사업 강화로 나란히 실적 방어에 성공했다.
지난해 4분기 한국콜마의 본업인 화장품 매출은 17% 역신장했지만 그룹 계열 제약업체인 HK이노엔 덕에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확대됐다.
특히 한국콜마 영업이익에서 HK이노엔이 차지하는 비중이 60%에 달하기 때문에 업계 안팎에선 한국콜마가 뷰티 기업에서 제약·바이오 기업으로 탈바꿈 했다는 평가까지 나온다.
한국콜마는 2년 누계 매출 1000억원을 돌파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정'과 더불어 세포유전자 치료제 등 파이프라인 다각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신약·바이오의약품뿐만 아니라 미래 성장 전망이 밝은 세포유전자 치료제 사업에 착수한 상태로 파이프라인 다각화를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코스맥스 역시 지난해 화장품 산업 성장세가 주춤한 사이 사업 다각화로 포트폴리오를 분산시켰다. 코스맥스는 재생에너지 사업과 AI(인공지능) 기반 솔루션과 플랫폼 개발 등을 전개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코스맥스는 화성 공장 등에 친환경 에너지인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등의 신재생 에너지 관련 투자를 진행한다.
또한 AI 기반 솔루션과 플랫폼 개발을 통해 세분화된 소비자를 대상으로 상품을 빠르게 개발하고 디지털 기술로 맞춤형 화장품까지 대응 가능하도록 생산 체계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코스맥스는 AI 플랫폼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올해 초 조직 개편을 단행, 디지털 사업본부를 신설하고 융합∙산업전문가인 설원희 사장(전 현대자동차 부사장)을 영입한 바 있다.
코스맥스 관계자는 "신재생 에너지 사업 관련 내용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사안"이라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화장품 개발 과정을 디지털로 연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펫 사업부터 VC까지...업계, 성장 동력 확보에 '사활'
LG생건과 애경 등 전통 생활용품 기업은 미래 먹거리로 최근 '프리미엄' 펫 푸드 라인을 강화하고 있다. LG생건은 프리미엄 펫 푸드 브랜드 '시리우스 윌'을, 애경산업은 프리미엄 펫 케어 브랜드 '휘슬'을 운영 중이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집콕족(族)이 늘면서 반려동물 시장까지 덩달아 가파르게 성장하자 관련 상품군을 확대한 것이다.
LG생활건강과 애경은 해외 브랜드들이 장악하고 있는 펫 기업에 맞서 1500만 반려동물 양육 인구와 3조원 규모의 '펫 푸드' 시장을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2006년 설립돼 로드숍 전성기를 누렸던 토니모리 역시 본업인 화장품 사업 실적이 지속 악화되자 지난해 하반기부터 벤처캐피탈(VC) 사업에 뛰어들며 헬스케어 스타트업 등 투자에 나섰다.
이처럼 토니모리가 VC 사업에 뛰어든 이유는 본업의 실적 악화와 무관하지 않다. 토니모리는 2016년 매출 2331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줄곧 내리막길을 걸어왔다.
다만 K뷰티 성장세가 주춤하면서 뷰티 스타트업 투자로 이익을 낸 사례가 드물다는 점은 토니모리가 떠안아야 할 과제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시장 및 소비심리가 위축됨에 따라 화장품 업계도 본 사업 외에 신규 미래성장동력 사업 발굴을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yoonge9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