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공사비 부담에 절대 불가 방침에서 선회
플랫폼 차이로 연계 가능한 기본계획 추진
GTX-C노선과 별도로 사업타당성 거쳐 추가 진행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수서역이 종점인 수서고속열차(SRT)가 삼성역에 정차할 수 있는 길이 열려 향후 사업 진행에 관심이 쏠린다.
정부가 내달 발표 예정인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C노선에 SRT 노선 연장을 고려한 기본계획을 설계하기로 했다. 당장 SRT 노선이 삼성역까지 연장되는 것은 아니다. 향후 개별적인 사업타당성을 받아야 하는 절차가 남아 있다. 그럼에도 향후 SRT 연장이 가시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삼성역 연결만 이뤄지면 GTX 노선을 이용해 의정부 등 수도권 동북부로 확장될 공산이 크다.
◆ 플랫폼 차이 고려한 GTX-C노선 기본설계
15일 정부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토부는 GTX-C노선 기본계획에 SRT 연결 계획을 반영했다. GTX-C노선 중에 SRT가 정차할 수 있는 정거장의 역사공간을 확보한다는 것이다.
국토부는 GTX-C노선의 기본계획을 기획재정부에 민자사업 적격성조사를 신청한 상태다. 다음달 적격정 조사를 통과하면 국토부는 GTX-C노선과 SRT 연계 사업을 본격화한다.
SRT 연계 사업은 플랫폼을 고려한 공간 확보다. 삼성역에 SRT가 정차하려면 GTX와의 플랫폼 높이차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SRT는 플랫폼 높이가 500mm인 '저상홈'이다. 플랫폼이 열차 바닥보다 낮다. GTX 플랫폼은 높이가 1135mm인 '고상홈'으로 플랫폼 높이가 열차 바닥과 같은 구조로 이뤄진다.
이처럼 SRT와 GTX는 플랫폼 높이차로 같은 플랫폼을 이용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SRT와 GTX-A는 수서~동탄 구간 선로를 공유하면서도 플랫폼 높이차로 중간역 환승이 불가능하다.
삼성역 복합환승센터에서 두 열차가 모두 운행하려면 각각의 플랫폼을 따로 설치해야 한다. 국토부가 이번 기본계획에서 이 부분을 고려한 사업계획을 세운 것이다.
◆ 국토부, 절대 불가 방침에서 선회...지역 민원에 백기?
국토부가 애초 GTX-C노선 기본계획에 SRT 연결 불가 방침에서 태도를 변경한 것도 관심사다.
업계에서는 의정부, 덕정, 강북 주민들의 반발과 국회의원들의 요청이 강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동북부 주민과 국회의원들은 지역 균형발전과 교통난 해소를 위해 SRT 연장이 필요하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기본설계에 포함된 것처럼 플랫폼 설치 공간을 만드는 것은 당장 공사비 부담이 크지 않다. 일단 SRT 노선 공유의 길을 열어둔 이유로 풀이된다. 국토부가 공사비를 떠안아야 하는 것도 아닌데 지역 주민, 공공기관 등과 대립각을 세울 필요가 없는 것이다.
실제 SRT와 연계한 노선 기본계획이 확정돼도 당장 공사를 진행하지 않는다. 2027년 GTX-C노선이 개통된 뒤 개별 사업타당성을 받아야 한다. 추가 공사비는 2000억~3000억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이 비용은 민간사업자 또는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하는 구조로 진행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GTX-C노선 기본설계에 SRT 연계가 포함됐지만 당장 관련 사업이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며 "준공 시점에 개별적인 사업타당성 조사를 거쳐 민간 또는 지자체가 공사비를 부담하는 것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삼성역 뚫리면 동북부 연결 가시화
SRT가 삼성역으로 이어지면 GTX노선을 이용해 수도권 동북부로 뻗어 나갈 공산이 크다.
지역 균형발전과 이용 편의성에서 SRT 연장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이 많아서다. 현재 의정부 등 수도권 동북부에서 SRT를 이용하려면 GTX-C를 타고 삼성역에 온 뒤 다시 GTX-A로 갈아타고 수서역까지 가야 한다. 반대로 SRT를 탄 지방 승객이 삼성역 부근으로 가려면 수서역에서 GTX-A로 갈아타거나 버스, 택시 등을 이용해야만 한다. 실제 서울 동북부 주민들의 STR 접근성이 취약한 것이다.
이런 이유로 SRT가 삼성역까지 연결되면 동북부 연장은 크게 힘들지 않을 것이란 분위기가 많다. 지역 민원이 많고, 상대적으로 강남 접근성이 부족한 수도권 동북부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해야 하는 과제도 있기 때문이다.
이창무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는 "삼성역과 수서역 SRT 연결 때 들어가는 공사비와 이용객 분산 등을 고려할 때 사업타당성이 높지 않을 수 있다"며 "다만 지역 균형발전, 교통 편의성 향상 등의 눈에 보이지 않는 이익이 커 경제적 논리로 단순하게 접근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