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북한이 북미 비핵화 협상을 위한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모라토리엄(유예)'을 지킬 의무는 없다고 러시아 대사가 주장해 파장이 예상된다.
![]() |
조선중앙통신은 1월 28일부터 31일까지 당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열린 제7기 제5차 전원회의 소식을 1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전원회의에서 "이제 세상은 곧 멀지 않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보유하게 될 새로운 전략무기를 목격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사진=조선중앙통신] |
12일(현지시각) 러시아 리아노보스티 통신과의 인터뷰에 응한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는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중단, 풍계리 핵실험장 해체 등이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 중 북한이 선의의 표시로 행한 일방적 의무였다고 설명했다.
마체고라 대사는 작년 12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앙군사위원회에서 북한이 상호주의 원칙에 따르지 않는 의무들을 일방적으로 지킬 이유가 더는 없다고 한 점을 언급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당시 김 위원장 발언을 자발적 핵실험 중단을 포기하겠다는 직접적 선언으로만 받아들여서는 안 되며 "현재 상황은 북한이 핵실험 중단 의무를 지킬 이유도 없지만, 동시에 핵실험을 행할 필요성도 없다는 식으로 정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마체고라 대사는 북한이 어떤 종류의 새로운 전략무기를 선보일지 모르지만, 러시아는 북한을 포함한 모든 한반도 문제 당사국들에게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는 행동을 삼가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또 작년 2월 베트남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한에서 비핵화 트랙에 대한 근본적 조정이 이루어졌다면서, 북한이 미국의 제재 완화 행보마다 합당한 북한의 비핵화 진전이 동반되는 식의 흥정은 더는 원치 않는다고 덧붙였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