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톡톡! 장용동의 부동산' 지난 시간에는 서울 집값 '집값바닥론 VS 추가하락론'에 대해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 |
이번 '톡톡! 장용동의 부동산' 17화는 여름 특집 두 번째 시간으로 청정 자연 속에서 아름다운 우리 한옥의 가치를 짚어봅니다. 촬영은 한옥 전통의 미가 살아있는 강원도 살둔산장에서 진행됐습니다.
![]() |
최근 한 뷰티회사 대표가 96억 원이 넘는 한옥을 매입하는 등 최근 들어 한옥의 가치가 재평가되고 있습니다.
![]() |
대부분 전통 한옥이 주를 이루지만 최근에는 남양주나 판교 등 외곽 지역에서 성당이나 카페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이며 비거주용으로 사용되거나 지어지고 있습니다.
![]() |
![]() |
![]() |
주거지로서는 서울의 서촌과 북촌, 전주, 경주, 공주 한옥마을 등이 유명합니다. 최근에는 한옥 붐을 타고 은평뉴타운에 한옥마을이 들어서는 등 수도권과 지방에 대거 한옥 타운이 생기고 있는데요.
![]() |
![]() |
시골도시 등에서는 귀농귀촌 유인요소로 한옥집단화를 시도하기도 하는데요. 북촌이 서촌까지 확대되는 것과 같이 한옥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상가들이 몰려들면서 투자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 |
기존 한옥을 매입해 게스트하우스로 사용하거나 카페로 이용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죠. 한옥은 정서적인 만족감을 줄 뿐만 아니라 창틀과 창살 아래 풍경은 마치 차경, 즉 경치를 빌려온다는 느낌까지 줍니다. 한옥에 대한 만족도를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은평뉴타운처럼 한옥 집단화의 모습을 띄기도 합니다.
![]() |
한옥투자는 기존 주택을 매입하는 방식과 신축하는 방법, 집단지역 토지 분양 방법, 나홀로 짓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기존 주택을 매입 할 때는 우선 건물 상황을 잘 파악해야하고, 한옥 관리가 힘들다는 점도 염두해 둬야 합니다. 전원에 단독으로 직접 짓는 경우는 여유로운 전원생활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매각할 때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합니다.
![]() |
투자를 할 때는 투자성이 높은 구한옥을 사서 카페 등 적절한 공간으로 재활용하는 방식이 효율적입니다. 익선동처럼 가격이 너무 오른 곳은 젠트리피케이션에 주의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유지관리비 또한 너무 올라 자칫 한옥이 애물단지가 되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투자하고 익선동과 같이 새롭게 떠오르는 지역 중심으로 투자하는게 현명합니다.
![]() |
현재 새로운 투자처로는 종로와 교통이 편리한 익선동, 경주, 안강 한옥마을 등이 있지만 투기성이 많은 곳은 피해야 하고, 정부 수리 보조금도 꼼꼼하게 알아두면 좋습니다. 지자체별로 다르니 자세히 알아봐야겠죠.
![]() |
![]() |
![]() |
손 꼽을만한 한옥 건물들과 한옥 주거단지, 투자처로서의 한옥 시장의 분위기, 주거지로서의 한옥과 정부 지원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옥에 투자 할 때 유의해야 할 점들에 대한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 |
'톡톡! 장용동의 부동산' 다음 시간에는 오피스텔 투자에 대한 이야기 나눠봅니다.
'톡톡! 장용동의 부동산' 앞으로도 여러분들이 부동산 전문가가 되는 그날까지 함께 하겠습니다.
[영상 다시보기▼]
korea20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