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정 "북미 과정 중 새 방식 나올지 예단 어렵다"
"중재자 규정보다 비핵화 가장 빠른 길 찾을 것"
"중국과 사전협의, 한미정상회담 큰 그림 봐달라"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청와대는 20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으로 비핵화 협상이 남북미 3자 구도에서 남북미중 4자 구도로 바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있을 수 있지만 결국 북미 간에 문제를 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기자의 질문에 "북미 간에 문제를 풀게 되는 과정 중에 어떤 새로운 방식이 나올지는 지금으로서는 예단하기 어렵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사진=노동신문] |
고 대변인은 북중정상회담의 결과가 어떤 방식으로 공유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내용이 어떻게 누구에게 얼마나 공유되고 있는지는 확인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앞서 청와대는 북중정상회담을 위해 중국과 사전협의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고 대변인은 중국의 등장으로 문재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이 약화될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 "때로는 중재자라고 말하고 때로는 당사자라고 이야기를 한다"며 "저희는 어떤 규정보다 한반도의 비핵화, 한반도의 평화를 이루기 위해 가장 가능하고 빠를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 대변인은 이어 "지금 현재 한반도를 둘러싸고 일어나는 여러가지 움직임들, 북중정상회담 관련 중국과 긴밀히 협의했다고 저희가 밝힌 바 있다"며 "한미정상회담도 곧 이뤄질 전망이다. 이런 모든 전반적인 상황들을 큰 그림으로 봐달라"고 말했다.
한편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이날 국회 한반도경제문화포럼이 주최한 '6·15 남북공동선언 19주년 기념 토론회'에서 "시 주석의 평양 방문으로 한반도 문제의 해결 구도가 3자(남·북·미)에서 4자(남·북·미·중)로 바뀔 가능성이 높아졌다"면서 "지금 한반도는 기로에 놓여 있다"고 예상했다.
정 전 장관은 시 주석이 노동신문에 기고한 글을 언급하면서 "중국이 이제 자기들도 북핵 문제를 풀어나가는 데 '4분의 1' 지분을 가진 떳떳한 플레이어가 되겠다고 나선 것"이라고 말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