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공단, '낙석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봄철 해빙기 낙석 발생 징후를 사전에 감지해 탐방객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낙석통합관리 시스템'이 최근 구축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암반의 경사와 균열을 실시간으로 측정해 기준치인 5㎜를 초과할 경우 현장에 설치된 경보시설로 탐방객에게 낙석 위험상황을 안내방송으로 알리는 '낙석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10일 밝혔다.
국가지원지방도 88호선에서 강원 영월군 정양리를 연결하는 붕괴위험지구 도로에 떨어진 낙석.[사진=영월군청] |
이번에 구축한 시스템은 각 국립공원사무소와 강원 원주시에 있는 국립공원공단의 재난안전상황실에서도 해당 탐방로를 통제할 수 있는 특화된 관리시스템이다. 현재 설악산 비선대와 백담지구, 소백산 희방사 진입도로, 월출산 구름다리 및 바람폭포 일대 등 총 6곳에 설치돼 있다.
국립공원공단은 올해 11월까지 낙석통합관리시스템을 18개 국립공원으로 확대하고, 실시간 계측자료와 경보상황 등을 전송받을 수 있는 스마트폰 앱도 개발할 계획이다.
해빙기 낙석은 겨우내 얼었던 바위가 기온에 따라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자연현상으로, 한번 사고가 나면 인명피해, 시설물 붕괴 등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바위를 지지하던 흙이 여름철 강한 비에 쓸려나가도 발생할 수 있다.
최근 5년간(2014~2018년) 국립공원에서 봄철 해빙기인 2월에서 4월에 발생한 낙석사고는 총 23건으로 이중 지난 2014년 3월에 북한산 인수봉에서 1명이 사망하는 등 3건의 인명피해와 9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5년 전체 기간 동안 발생한 낙석사고는 총 33건으로 봄철 해빙기(2월~4월)에 발생한 건수는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국립공원공단은 전국 국립공원의 낙석위험지역 450곳에 우회탐방로 개설, 낙석방지책 설치 등 328곳에 정비사업을 시행했다. 또한 붕괴 우려가 높은 지역, 천연보호구역, 명승지 같은 시설물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는 122대의 낙석계측기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양해승 국립공원공단 재난안전처장은 "봄철 국립공원을 산행할 때 발생하는 낙석은 예측이 매우 어려워, 위험구간은 신속히 통과해야 하며, 낙석위험 경보음이 울리면 즉시 안전한 장소로 이동해야 한다"고 밝혔다.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