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피플

속보

더보기

[중국 핫!이슈] 수영왕 쑨양 유니폼 땜에 발칵, 영화촬영지 핫플레이스로, 사극 사전 방영 논란

기사입력 : 2018년08월24일 17:22

최종수정 : 2018년08월28일 15:51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 바이두, 소후닷컴 등 중국 대형 인터넷 포탈과 웨이보, 위챗 등 주요 SNS에 등장한 인기 검색어 및 신조어를 통해 이번 한 주(8월 20일~8월 24일) 동안 14억 명 중국인들 사이에 화제를 불러일으킨 이슈들을 짚어본다.

중국 수영스타 쑨양 ‘운동복 논란’으로 금메달 빛바래

중국의 간판 수영스타 쑨양(孙杨)이 제 18회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 게임 시상식에서 착용한 운동복으로 인해 구설수에 휩싸였다.

쑨양은 자유형 200미터 우승 후 시상식에서 중국 국가대표팀의 공식협찬사인 안타(安踏)의 운동복 대신 자신이 광고모델로 활동중인 스포츠 브랜드인 361°를 착용한 모습이 방송을 통해 나가면서 논란에 불을 붙였다.

이에 중국 국가대표 공식 협찬사인 안타(安踏)는 성명을 통해 “모든 선수는 시상식에서 반드시 지정된 복장을 착용해야 한다”며 쑨양을 직접 거론하지 않았지만 항의의 뜻을 분명히 전달했다.

그 후 쑨양은 자유형 800미터 시상식에서는 안타의 운동복을 착용했지만 시상식 내내 중국의 국기인 오성홍기로 안타의 로고를 가리면서 논란이 재점화 됐다.

중국에서 쑨양의 복장에 관한 논란이 확산되자 중국 관영방송국인 CCTV는 앞서 치뤄진 경기와 달리 쑨양의 3번째 경기 시상식을 라이브방송으로 방영하지 않았다.

중국의 네티즌들은 온라인 상에서 “쑨양은 개인의 이익을 국가의 이익보다 앞세운다”,“ 금메달 획득으로 공을 세웠지만 모든 운동선수는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 “한 기업의 이익보다 국위 선양을 한 쑨양을 보호해야 한다”등 엇갈린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이번 논란의 장본인인 쑨양은 지난 21일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나는 이번 논란에 대해 아무렇지도 않다. 이런 작은 일로 타격을 받지 않는다”라며 의연한 입장을 보였다.

쑨양은 시상식에서 자신이 광고모델로 활동중인 361° 운동복을 착용해 논란을 일으켰다<사진=바이두>

시훙스서우푸(西虹市首富) 촬영지 ‘여행 핫플레이스’로 변모

중국 영화 시홍스서우푸(西虹市首富)가 올 여름 중국 극장가에서 흥행 돌풍을 일으키면서 이 영화의 촬영지도 여행자들 사이에서 ‘핫 플레이스’로 부상하고 있다.

시홍스서우푸의 촬영지 중 주요 배경도시인 푸젠성 샤먼(廈門)시와 산둥성의 서양식 고성 형태의 리조트인 원청청바오(文成城堡)에 중국 전역에서 온 여행객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여행 플랫폼 뤼마마(驢媽媽)의 데이터에 따르면, 샤먼 (廈門), 원청청바오(文成城堡) 두개의 키워드 검색량이 전년동기 대비 각각 31%, 21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시홍스서우푸(西虹市首富)의 촬영지 원청청바오<사진=바이두>

이 영화 촬영지를 방문하는 여행자들은 주로 20~30대로,그 중 샤먼시는 주로 신혼 부부 혹은 젊은 연인들의 인기 여행지로 꼽힌다. 또 원청청바오는 가족 단위의 여행자들이 많이 방문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 같은 영화 촬영지의 인기에 여행 플랫폼들도 관련 상품을 출시하면서 고객 모시기에 나서고 있다. 특히 해변전망을 볼 수 있는 원청청바오의 바로크 양식 호화객실(豪华海景标套间) 상품은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여행플랫폼 뤼마마의 관계자는 “흡인력 있는 영상 콘텐츠가 촬영장소를 인기 여행지로 변모시켰다”며 “ 영화 속 촬영지는 ‘초대형 IP’로서 막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시킨 사례”라고 밝혔다.  

올 여름 인기리에 방영중인 드라마 연희공략과 루이좐<사진=바이두>

◆ 사극 연희공략, 루이좐 미방영분 베트남 온라인 유출 발칵 

청나라 건륭제(乾隆, 1711~1799) 시기를 배경으로 한 두 편의 드라마가 중국의 안방극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가운데, 미방영된 드라마 일부가 베트남에 사전 유출돼 논란이 일고 있다.

연희공략(延禧攻略)의 제작사측은 아직 최종회가 방영되지 않은 상황에서 미방영분이 베트남 온라인 플랫폼에 유출되자 난감한 상황에 처하게 됐다. 이에 제작사는 지난 20일 공식 웨이보를 통해 유출에 관련 인물에 대해 법적 책임을 묻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부 중국 네티즌들은 온라인상에서 “인터넷을 통해 미방영된 연희공략을 감상했다”며 “제작사 혹은 관계자들이 ‘노이즈 마케팅’을 하기 위해 유출했을 수도 있다”며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또다른 대형 사극으로 흥행 몰이에 들어간 루이좐(如懿傳)은 지난 20일 동영상 플랫폼 텅쉰(騰訊)을 통해 방영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루이좐(如懿傳)도 베트남 온라인에서 미방영분이 유출돼 적지않은 타격이 예상된다. 현재 루이좐은 8회까지 방영이 됐지만 베트남에서 이미 13회까지 유출된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연희공략, 루이좐 두편의 드라마는 모두 건륭제 후궁 사이의 암투를 생생하게 묘사한 작품으로 비슷한 시기에 각각 동영상플랫폼 아이치이(愛奇藝), 텅쉰(騰訊)을 통해 방영되면서 화제를 모았다.

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 지지율 35.2% 제자리걸음…'동해 석유' 발표 별무신통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소폭 상승해 30%대 중반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3일 발표됐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10~1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게 물은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는 35.2%로 집계됐다. 부정평가는 62.2%로 나타났다. '잘 모름'에 답한 비율은 2.6%다. 지난 조사 대비 긍정평가는 0.1%포인트(p) 상승했고 부정평가는 0.6%p 하락했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격차는 27.0%p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에서 긍·부정 평가 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만 18세~29세에서 '잘함'은 26.5% '잘 못함' 72.1%였고, 30대에서는 '잘함' 32.3% '잘 못함' 64.4%였다. 40대는 '잘함' 22.5% '잘 못함' 75.3%, 50대는 '잘함' 32.3% '잘 못함' 66.5%로 집계됐다. 60대는 '잘함' 45.5% '잘 못함' 51.4%였고, 70대 이상에서는 '잘함'이 55.0%로 '잘 못함'(40.1%)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잘함' 37.0%, '잘 못함'은 60.1%로 집계됐다. 경기·인천 '잘함' 32.6% '잘 못함' 66.2%, 대전·충청·세종 '잘함' 34.8% '잘 못함' 63.6%, 부산·울산·경남 '잘함' 35.7% '잘 못함' 59.9%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잘함' 51.9% '잘 못함' 45.6%, 전남·광주·전북 '잘함' 21.9% '잘 못함' 75.1%로 나타났다. 강원·제주는 '잘함' 38.0% '잘 못함' 54.6%로 집계됐다. 성별로도 남녀 모두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남성은 '잘함' 32.4% '잘 못함' 65.7%, 여성은 '잘함' 38.0% '잘 못함' 58.8%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 지지율 결과에 대해 "포항 영일만 앞바다의 석유,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 국정브리핑과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로 인한 9·19 군사합의 파기 등의 이슈를 거치면서 지지율 반등을 노릴 수 있었다"며 "그러나 액트지오사에 탐사 분석을 맡긴 배경에 대한 의혹이 증폭되고 있고, 육군 훈련병 영결식에 참석하는 대신 여당 워크숍에 가는 모습 등 때문에 민심이 움직이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차재권 부경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앞으로 큰 이슈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지지율은 떨어지지도, 올라가지도 않을 것 같다"며 "많은 국민이 기대도 하지 않고 그렇다고 아예 버리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지지율이 올라가려면 획기적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응답률은 3.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parksj@newspim.com 2024-06-13 06:00
사진
서울대병원, 오늘부터 무기한 휴진...수술장 가동률 '62.7%→33.5%'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17일부터 서울대학교병원 산하 4개 병원(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이 무기한 전면 휴진에 들어간다. 의료계에 따르면 해당 병원 교수 중 절반이 넘는 529명(54.7%)이 무기한 휴진에 참여한다. 수술장은 33.5%만 가동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서울대학교 병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학교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이날부터 22일 사이 외래 휴진 또는 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에 나선 교수는 529명이라고 밝힌 바 있다. 20개 임상과 전체가 휴진에 참여한다. 수술장이 있는 3개 병원의 수술장 가동율은 현재 62.7%에서 33.5%로 감소할 전망이다. 비대위 및 병원 집행부는 지난 16일 오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면담을 진행했으나 별다른 해결책은 나오지 않았다. 복지위 야당 간사인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비대위는 의정갈등 해결에 복지위가 적극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비대위는 ▲전공의에 대한 행정조치 취소 ▲상설 의정 협의체 구성 ▲의대 정원 관련 의료계와 논의 진행 등 3가지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대한의사협회도 같은 날 3개 요구안(▲의대정원 증원안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쟁점 사안 수정·보완 ▲정부의 일방적인 전공의·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 즉각 소급 취소, 사법 처리 위협 중단)을 정부에 제출하며 대화를 촉구했으나, 정부는 "의협이 불법적인 전면 휴진을 전제로 정부에게 정책 사항을 요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이를 거절했다. 이에 따라 오는 18일 전체 의료계의 전면 휴진을 비롯한 총궐기대회가 예정대로 진행될 전망이다. 한편 서울대병원에 이어 세브란스병원·강남세브란스병원·용인세브란스병원 소속 교수들도 오는 27일부터 응급·중증환자 진료를 제외한 무기한 휴진에 돌입의 뜻을 밝힌 바 있다. 삼성서울병원 등 성균관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도 무기한 휴진에 대해 논의할 전망이다. 서울성모병원과 서울아산병원 의대 교수들도 추가 휴진 여부를 논의 중인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calebcao@newspim.com 2024-06-17 07:21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