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에서 항공 좌석을 보유한 항공사가 슈퍼 갑
좌석의 금액이나 보유에 관련해 여행사는 언제나 눈치봐야하는 상황
대형여행사는 물론 중소형여행사일수록 더욱 심해져
리베이트·일감 몰아주기 어제 오늘일 아냐…결국 소비자만 손해 ‘악순환’
[서울=뉴스핌] 김유정 여행전문기자 =ᅠ2014년이었다. 한 외항사가 항공편을 한 대형 여행사에 몰아주고 그에 대한 이익을 여행사에게 리베이트했다는 의혹이 일었다. 이미 대형 여행사 내부에서는 파악 완료해 해당 직원을 징계했다. 여러 명이 연루됐었는데 감봉, 정직 등 비교적 가벼운 처벌이 내려져 여행사 내부에서는 반발이 심했다. 직급이 낮은 직원들만 징계를 받아 내부에서는 윗선까지 알고 징계 수위를 낮게 처리해 꼬리 자르기 했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비단 2014년에만 일어난 일이 아니다. 지금까지도 일부 항공사와 여행사 사이에서 꾸준하게 이뤄지는 ‘관행’이다. 아무리 언론에서 보도한 들 달라지지 않는 상황이다. 매년 같은 일이 다른 항공사와 다른 여행사의 이름으로 혹은 같은 이름으로 보도된다.
항공사의 일감 몰아주기, 여행사가 그에 상응하는 금품을 제공하는 일, 상품을 개발하고 현지 진행을 봐주는 랜드사(현지 여행사)가 상품을 판매해주는 여행사의 눈치를 보느라 부당한 대우에도 아무런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등 여행업계는 먹이사슬 같은 관례가 서로 얽혀있어 악순환을 되풀이하고 있다.
디지털콘텐츠본부 여행팀 김유정 여행전문기자 |
최상위권에 있는 항공사가 여행사에게 갑질을 하고 그로인해 발생된 손해를 랜드사나 그 아래 해당업체에게 떠넘기는 식으로 진행되는 여행업계의 악습의 영향을 곧 소비자에게 넘어간다. 리베이트를 해줘야 하기 때문에 그 비용까지 포함된 가격으로 항공권을 판매해야 하며 거기서 본 손해를 상품가에 녹여내 투어피(랜드사에게 주는 비용)을 0원에서 마이너스 수준으로 넘겨 현지의 랜드사와 투어가이드는 여행객에게 무리한 쇼핑이나 옵션을 강요한다. 때문에 여행객들은 만족스럽지 못한 여행을 하게 된다.ᅠ
사고가 났을 때도 여행사는 책임지지 않으려 하고 현지 여행사(랜드사) 탓으로 돌린다. 심지어 겉으로는 여행사가 보상해주는 돈도 랜드사에서 나오는 경우가 허다하다. 결국여행객은 안전의 보장을 서로 떠넘기고 아무도 책임지지 않고 있다.ᅠ
갑질은 항공사, 여행사, 랜드사 내부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대형여행사의 성과급 십일조 논란도 있었다. 내부 직원이 문제 삼아 수면에 올라온 이 사건은 여행사 내부에서 일어난 갑질 논란 이었다. 수년간 관행처럼 행해왔던 일로 분기나 연말에 지급되는 성과급을 부서장의 개인 계좌로 보내왔던 것. 그 비용이 어디로 흘러가는지 알 수 없어 비자금 조성, 횡령 논란까지 일었다. 언론에 보도됨에 따라 계도하겠다고 밝혔다.
이렇듯 관행이라는 포장 아래 여행업계는 크고 작은 불합리한 사건들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ᅠ
지난 7월 11일 이낙연 총리 주재로 제2회 국가전략회의가 열렸다. 관광이 중요한 산업으로 정부차원에서 이렇게나 주목받았던 적이 있었나 싶었다. 한국관광공사, 한국여행업협회의 자리 배석까지 이 총리 곁으로 두고 지자체 단체장 모두가 관광 홍보자가 되야 한다는 강조 등 여행업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대두되는 때이다.
정부가 항상 관광업을 홀대한다고 부르짖었는데 드디어 기회가 온 것이다. 하지만 자성해볼 필요가 있다. 그 기회를 잡을 만큼 여행업이 준비가 돼있는지 말이다. 준비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자신의 이익만 추구하거나 투명하지 않은 일처리 등을 관행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지금의 행태가 지속되면 다시 찾고 싶지 않은 한국, 여행사 통해서 가는 여행은 불만족의 상징, 항공사의 갑질로 해외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당연시 여겨지는 세상이 올지도 모른다. 여행업계를 하나의 큰 파트너로 인식, 투명한 시스템 구축으로 상생을 우선해야 할 시기가 왔다.
youz@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