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긴축에도 시장 반응없어"
[뉴스핌= 이홍규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이 금융 시장에 대한 통제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G플러스 이코노믹스의 레나 코밀레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6일(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 기고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연준이 5차례 금리를 인상했고, 보유 자산을 축소하고 있으며 올해 3차례의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했지만, 미국과 전 세계 금융 시장의 여건은 오히려 완화됐다는 점을 그 이유로 들었다.
연준이 통화 긴축(통화 정책 정상화)에도 불구하고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고, 주가는 치솟고 있으며 변동성은 낮아지고 있는 것이 그 예라는 설명이다. 고수익(하이일드) 자산에 대한 투자 수요는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채권과 주식의 밸류에이션이 전례 없이 수준까지 올라온 상황에서 연준의 긴축에 시장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은 인플레이션이 되돌아왔을 때 연준의 시장 변동성 통제 능력에 의문을 제기한다고 코밀레바는 지적했다.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사진=AP/뉴시스> |
그는 시장에 왜곡이 생겼다고 봤다. 연준이 미국 경제가 견조한 상태에 있음에도 향후 물가 대응 능력을 희생하면서까지 완화적인 금융 시장 여건을 수용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금융 위기 이후 연준의 양적완화 프로그램으로 채권 시장의 텀(기간) 프리미엄은 마이너스(-) 수준으로 떨어진 가운데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변동성이 올라가면 연준이 또다시 시장에 개입할 것이라는 기대가 퍼진 상태다.
작년 2·3분기 미국 경제가 3%를 웃도는 성장률을 기록하고 지난해 연준이 3차례 금리 인상에 나섰음에도 불구하고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2.60% 아래에 있다는 것은 정당화하기 어렵다고 코밀레바는 주장했다.
그는 미국 행정부의 감세 법안으로 기업 이익이 더 빠른 속도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감세로 인한 정부 재정 적자 확대는 국채 시장에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채 매입을 통해 재정 적자 부담을 줄여주던 중국과 일본이 예전과 같이 국채를 사줄지도 문제다.
물론 이러한 기대를 반영, 지난주 미 국채 금리가 급등했지만, 미국의 강력한 경제 상황이나 지정학적 위험을 시장이 효과적으로 반영했다는 신호는 없었다고 코밀레바는 판단했다.
그는 미국의 경제와 고용 시장, 인플레이션이 정상 수준으로 나아가고 있기 때문에 국채 시장도 이를 반영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로 인한 영향이 미국을 비롯해 각종 글로벌 자산 시장에 퍼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코밀레바는 "변화가 증폭되는 시점은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물가 안정 목표 2%에 도달할 때"라며 "물론 작년 12월 근원 소비자물가(CPI) 상승률이 1.8%로 목표에는 도달하지 않았지만, 이는 투자자들의 생각보다 미국 물가가 정책 목표에 가까워졌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홍규 기자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