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0년물 10개월만에 2.5% 뚫고 올라
[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2.5%를 뚫고 올랐다. 이와 함께 주요국 수익률이 일제히 상승 탄력을 받았다.
일본은행(BOJ) <사진=블룸버그> |
일본은행(BOJ)이 채권 매입 규모를 축소, ‘서프라이즈’를 연출한 데 따른 시장 반응이다. 미국 장기물 국채 수익률이 10개월래 최고치로 뛴 가운데 투자자들은 주요국 중앙은행의 행보를 주시하고 있다.
발 빠른 투자자들은 이미 연초 정크본드 보유 비중을 대폭 축소, 금리 상승에 따른 시장 충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나서는 모습이다.
9일(현지시각) 장중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6bp 가량 급등하며 2.537%에 거래됐다. 미국 10년물 수익률이 2.5%를 뚫고 오른 것은 지난해 3월17일 이후 처음이다.
BOJ가 예기치 않게 채권 매입 규모를 100억엔 축소하자 미국은 물론이고 유럽 주요국의 국채 수익률이 일제히 상승했고, 엔화가 강세를 나타냈다.
독일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3.6bp 오르며 0.47%에 거래됐고, 이탈리아 10년물 수익률도 4.5bp 뛰며 2.0%를 뚫고 올랐다. 같은 만기의 스페인과 영국 국채 수익률도 각각 2.4bp와 5bp 상승했다.
이날 뉴욕외환시장에서 엔화는 달러화에 대해 0.5% 가량 상승, BOJ의 ‘깜짝’ 발표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BOJ가 10~25년 만기 장기물 채권 매입 규모를 축소한 것은 지난 2016년 12월 이후 처음이다. 이에 따라 채권 매입액은 1900억엔으로 줄어들었다.
BOJ는 이와 함께 만기 25년 이상 채권의 매입 규모도 100억엔 축소해 800억엔으로 조정했다.
워싱턴 D.C. 연준 본부의 독수리상 <사진=블룸버그> |
이와 관련, 스탠더드 뱅크의 스티브 바로우 리서치 헤드는 영국 파이낸셜타임즈(FT)와 인터뷰에서 “BOJ가 2016년 12월 일드커브를 통제하는 정책을 도입했을 때 채권 매입 규모를 완만하게 줄인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에 이번 결정이 크게 놀랄 일은 아니다”라며 “하지만 최근 구로다 하루히코 BOJ 총재가 장기 초저금리에 따른 금융시장의 난관을 크게 강조한 만큼 투자자들 사이에 정책자들이 긴축 정책으로 무게 중심을 옮기고 있다는 의견이 번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유럽중앙은행(ECB)의 연쇄적인 긴축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소위 양적완화(QE)를 장기간에 걸쳐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했던 BOJ가 발을 빼자 주요국 정책자들이 같은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IG의 크리스 보샴 애널리스트는 FT와 인터뷰에서 “이번 BOJ의 결정은 특히 연준과 ECB가 긴축 속도를 높일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전망이 현실화될 경우 외환시장의 움직임에도 커다란 반전이 나타날 전망이다. 특히 12월 유로존의 핵심 물가가 저조한 수준에 그치면서 투자자들은 ECB의 금리인상이 요원하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
이 때문에 유로/달러가 1.20달러 선을 지켜내지 못한 상황이다. 하지만 ECB가 통화정책 정상화에 속도를 낼 조짐이 포착될 경우 환율이 반등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국채 수익률이 강한 상승 흐름을 보이자 채권 투자자들 사이에 경계감이 높아지고 있다. 뉴욕 소재 채권 브로커리지 업체 MCAP의 마이클 프란제스 채권 트레이딩 헤드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과거 국채 수익률이 현 수준에 이를 때 매입에 나섰던 해외 투자자들이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다”라며 “이는 투자자들을 긴장시키는 상황이며, 보유 물량 매도를 저울질하게 한다”고 전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