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쾌지수, 기온·습도 높으면 동반상승
80 이상 대부분 불쾌…사건·사고 증가
겨울철에도 활용, 55 이하면 난방해야
[뉴스핌=김규희 기자] 후덥지근한 날씨에 가만히 있어도 짜증이 솟구치는 여름. 장마까지 겹치면서 불쾌지수가 올라가고 있다. 기상당국은 높은 불쾌지수를 언급하며 사람들에게 조심할 것을 당부한다. 불쾌지수는 무엇일까.
![]() |
| 여름철 폭염과 장마가 겹치면 불쾌지수가 급격하게 상승한다. /이형석 기자 leehs@ |
불쾌지수는 날씨에 따라서 사람이 불쾌감을 느끼는 정도를 기온과 습도를 이용해 나타낸 수치다. 장마와 폭염이 반복되고 고온다습하고 후덥지근한 날씨가 이어지면 불쾌지수가 높아진다.
불쾌지수는 1959년 미국에서 처음 사용했다. 약 300개 도시에서 ‘불쾌지수=0.72(기온+습구온도)+40.6’으로 계산해 불쾌지수를 발표했다. 기온이 올라가거나 습도가 높아지면 불쾌지수도 따라서 상승한다.
불쾌지수가 70 이상이면 약 10%의 사람이, 75를 넘으면 약 50%가 불쾌감을 느낀다. 지수가 80을 웃돌면 대부분의 사람이 불쾌감을 갖는다.
사람마다 불쾌감을 느끼는 정도가 다소 다르며, 불쾌지수 발표가 불쾌감을 더욱 조장한다고 해 온윤지수(temperature humidity index)라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 불쾌지수는 실내 기준으로만 사용되고 바람 등 외부조건은 반영되지 않는다. 따라서 야외에서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인종에 따라서도 약간씩 차이가 난다는 의견도 있다.
이런 불쾌지수는 다양한 곳에서 쓰이고 있다. 다른 계절에 비해 여름철에 사건 사고가 많이 일어나는데 이는 불쾌지수가 높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또 도로교통공사가 2012년부터 5년 동안 휴가철(7월16일~8월31일)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한 결과 불쾌지수가 80 이상으로 ‘매우 높음’인 날은 그렇지 않은 날에 비해 교통사고가 13% 더 많이 발생했다.
불쾌지수는 겨울철 난방조건 설정에도 이용된다. 불쾌지수가 60 이하면 사람은 쌀쌀함을 느끼고 55를 밑돌면 추위를 느낀다.
예를 들어 상대습도 50%, 기온 12도 이하인 경우 불쾌지수는 55가 되고 난방이 필요한 시점이란 것이다. 이를 활용하면 가습기 등을 이용해 습도를 높이면 낮은 온도에서도 더 따뜻하게 느낄 수 있다.
[뉴스핌 Newspim] 김규희 기자 (Q2ki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