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정광연 기자]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가 ‘혁신을 통한 성장’을 준비하기 위한 ‘미래전략 보고서’를 공개했다. 전도유망한 10대 신서비스의 현황과 전망을 담았지만 이미 수차례 거론된 내용을 정리한 수준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미래부 미래준비위원회(이하 미래준비위)는 27일 미래유망 10대 신서비스를 선정, 분석한 ‘미래전략 보고서’를 공개했다. 미래준비위는 이번 보고서를 바탕으로 ‘미래 일자리 변화’, ‘생산과 소비의 혁명’ 등 2개 미래이슈와 관련된 과학기술 및 ICT 기반 미래전략을 연말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미래준비위가 밝힌 10대 신서비스는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현금없는 금융 서비스 ▲무인네트워크 운송 서비스 ▲사물 인터넷 재난 대응서비스 ▲건강수명 증진 서비스 ▲전력 충전 서비스 ▲그린 에너지 플랫폼 서비스 ▲인공지능 만능 전문가 서비스 ▲웨어러블 에너지 공급 서비스 ▲소셜 러닝 서비스 등이다.
<사진=미래창조과학부> |
이광형 미래준비위원장 “지난해 10월부터 전문가 932명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미래유망 10대 신서비스를 도출하고 기술적 실현시기와 파급효과 등도 함께 분석했다”며 “이번 보고서가 저성장시대를 넘어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미래준비위는 공공서비스(6개), 생활환경(9개), 사회 인프라(12개) 등 3개 분야 27개 후보군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최종 10대 신서비스를 선정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미래전략으로 보기에는 새로운 내용이나 전문적인 접근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실제로 미래유망 10대 신서비스의 대부분은 수년전부터 차세대 먹거리 산업으로 각광받은 영역이 대부분이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상당한 투자가 진행되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상용화 단계에 돌입한 서비스도 있다. 이미 거론된 신서비스를 재정리한 차원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선정단 전문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설문조사에 참가한 932명 중 대학원생과 대학생도 상당부분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전문가’라고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주장이다.
이 위원장은 “이번 보고서는 저성장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적 차원에서 대안이 될 수 있는 서비스를 들을 선정한 것”이라며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은 산업들인만큼 체계적인 육성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미래준비위는 이번 보고서를 각 부처 및 기관의 미래전략수립에 활용될 수 있게 한다는 방침이지만 실제 정책 반영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미래부 관계자는 “말그대로 미래예측을 통해 지속 성장을 도모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보고서”라며 “이를 토대로 특정 분야에 예산을 강화하거나 새로운 프로젝트를 신설한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정광연 기자(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