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中100대 업종] (32) 투자선호도 1위 '콜드체인'산업

기사입력 : 2014년08월05일 17:00

최종수정 : 2014년08월05일 17:00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대형자본 '묻지마' 진출붐, 연 25% 넘는 폭발 성장세

[편집자주] 이 기사는 7월 21일 16시 03분 뉴스핌의 프리미엄 뉴스 ′안다(ANDA)′에서 표출한 기사입니다.

[뉴스핌=조윤선 기자]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와 투자회사 푸싱(復星)그룹 등이 공동으로 설립한 물류회사 '차이냐오네트워크(菜鳥網絡 CAINIAO)'가 콜드체인 사업을 베이징(北京), 광저우(廣州) 등지로 확대한다. 물류회사 순펑 익스프레스(順分速運 S.F. Express)는  PC기업 레노보 산하의 농업투자 회사 자워그룹(佳沃集團)과 신선식품 산지직송 및 콜드체인 물류 분야에서 제휴를 추진키로 했다. 또 온라인쇼핑몰 업계 2위 징둥상청(京東商城)도 중국 최대 해산물식품기업 장쯔다오(獐子島)와 제휴협약을 체결, 온라인쇼핑몰을 통해 신선한 해산물을 공급하기로 했다.' 

전자상거래 시장 발전과 신선식품 선호 및 식품 안전 등 소비관행의 변화가 중국의 저온유통시스템 콜드체인 산업을 유망산업으로 탈바꿈 시켜놓고 있다. 중국 자본시장에는 최근 인터넷과 물류 분야 대형 자본의 잇단 콜드체인 사업 진출 소식이 핫 이슈가 되고 있다. 콜드체인(Cold-Chain) 물류란 수산물, 육류, 과일, 채소 등 신선한 식료품을 저온 유지를 통해 신선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주산지로부터 가정까지 배송하는 저온 유통시스템을 말한다.

유럽 최대 경영전략 자문회사인 롤랜드버거(Roland Berger Strategy Consultants)는 중국 거시경제 정책과 수요에 힘입어 콜드체인 물류업계가 연간 25%의 고속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2017년 시장규모가 4700억 위안(약 78조원)에 달할 것이란 전망도 제시했다.

◇급성장하는 콜드체인

지난 5월 열린 국제콜드체인물류 포럼에서 중국 물류구매연합회의 허리밍(何黎明) 회장은 "최근 몇 년새 중국의 콜드체인 물류 업종이 급성장하고 있다"며 "중앙, 지방정부 할 것 없이 냉동창고와 콜드체인 산업단지, 냉장차 등 관련 인프라 시설 건설과 설비 매입에 거액을 투자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2013년 중국 콜드체인 물류업에 대한 고정자산 투자액은 1000억 위안(약 17조원)을 넘어섰다. 이는 전년 동기대비 24.2% 증가한 수치다.

2013년 냉동창고도 급격히 증가하면서 그 해 말 기준, 중국의 냉동창고 저장 용량은 전년 동기대비 13.6% 증가한 2411만t에 달했다.

콜드체인 운송 측면에서는 고속도로 운송이 중국 전체 냉동·냉장운송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냉장차는 2013년에만 1만5000대가 늘어났다. 이는 2012년보다 14% 가량이 증가한 규모다.

중국 물류구매연합회에 따르면 2013년 콜드체인 물류 수요는 9200만t에 달했고, 콜드체인 물류 시장 성장률은 20%에 육박했다.

그 중 베이징, 상하이(上海), 광저우, 산둥(山東) 등이 콜드체인 물류 주요 소비지역으로 시장 성장률이 30%에 달한다. 중국 동북과 서북지역의 콜드체인 물류 성장률도 10%를 넘고 있다.

콜드체인 물류 업종이 급성장하는 까닭은 중국인의 소비관념이 바뀌면서 신선식품을 찾는 소비자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최근 중국에서 조류독감으로 가금 사육농장이 문을 닫는 등 식품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신선한 식품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고 이에 따라 콜드체인 물류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급성장한 중국의 전자상거래 시장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콜드체인 물류업 발전에 촉진제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올해 농업 경영체제 혁신 의지를 담은 '중앙 1호 문건'을 통해 농산물 전자상거래 플랫폼 구축에 주력키로 했다.

콜드체인 물류 서비스가 식품과 농산물 소비 영역에 집중되어 있어, 이러한 정부 방침이 콜드체인 물류업 성장에 기폭제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중국 국부펀드(CIC)의 자금위탁운용사격인 중국국제금융공사 중진(中金 CICC)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4억2000만 위안(약 690억원)에 불과했던 신선식품의 B2C 거래규모는 2012년 40억 위안(약 6600억원)으로 급증했다.

신은만국(申銀萬國)증권은 향후 3년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거래 규모가 7배이상 증가함에 따라 콜드체인 물류 시장도 6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분석했다.

2014~2016년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거래 증가율이 각각 100%, 100%, 75%에 달해, 거래규모가 260억 위안(약 4조원), 521억 위안(약 9조원), 911억 위안(약 15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문기관은 예측했다.

그래픽: 송유미 기자.
◇냉장 설비업체도 호재

신선식품 분야 외에도 중국의 '신 GSP(약품경영질량관리규범)' 시행 후, 콜드체인 물류는 약품업계까지 손을 뻗치게 됐다. 이에따라 업계에서는 향후 70억 위안(약 1조원)에 달하는 콜드체인 물류 분야 기술장비 수요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콜드체인 물류연맹에 따르면 2013~2015년 콜드체인 배송 연간 증가율은 80%~12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냉동창고 및 냉장차 시장 규모가 360억 위안(약 6조원), 관련 장비 시장 규모가 600억 위안(약 10조원)에 달한다.

알리바바, 징둥상청 등 전자상거래 업체 뿐만 아니라 작년 4분기부터 현재까지 A주 상장사들도 콜드체인 물류 사업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택시와 물류사업을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는 하이보구펀(海博股份 600708.SH)이 농산물 구매 인터넷 사이트 '차이관자(菜管家)' 지분 51%를 매입했으며, 냉장설비 제조업체 쉐런구펀(雪人股份 002639.SZ)이 투자자금을 모집해 콜드체인 물류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올 5월 차이관자 부사장 쑹이친(宋軼勤)은 "차이관자의 사업을 올해 화동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하이보구펀과 제3자 농산물 콜드체인 물류 플랫폼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6월말 상하이 1위 저온보관창고 업체인 진장(錦江)저온공사는 올해 상하이 우쑹(吳淞)지역에 저장용량 1만t 규모의 냉동창고를 증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항만 인근의 상온보관창고를 저온보관창고로 개조해 냉동창고 자원을 확대한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진장저온공사는 냉동창고 저장 용량이 11만t에 달하는 중국 3위 냉장보관 업체다.

중국 콜드체인연맹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매출액 1000만 위안 이상의 콜드체인업체 680개의 냉장보관 용량은 2046만9700t, 냉장차 보유대수는 총 2만9400대, 추가적으로 증설할 냉동창고 개수는 330만4400개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산업연구 기관인 중국산업연구보고망(中國產業研究報告網)에 따르면 중국 전체 냉동창고 보관 용량은 2010년 880만t에서 2012년 1575t으로 크게 늘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냉동창고는 2015년까지 600만t 가량이 추가 증설될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앞으로 냉장차량도 1205대 더 추가적으로 확보될 전망이다. 중국산업연구보고망은 2012~2015년 냉장차량 신규수요는 연평균 50%씩 증가, 2015년까지 수요가 15만5000대로 확대될 것으로 분석했다. 2013년 기준, 콜드체인 업계 냉장차 신규수요는 총 1280대였다.

이처럼 콜드체인 물류업계에 대한 투자가 잇따르면서 관련 설비제조 업체들도 급성장하고 있다.

상하이의 냉장설비 제조업체 차오쿠즈렁(超酷製冷 SUPERCOOL) 사장 셰하오(謝皓)는 "작년 시장점유율 5%에 육박하는 580대의 냉장차 에어컨을 판매했다"며 "올 상반기 냉장차 에어컨 매출이 이미 작년 한해 매출 수준을 넘어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상반기 콜드체인 설비 업계 성장률이 30%~40%에 달해 예년 연평균 성장률 15%를 훌쩍 뛰어넘었다"면서 "중국인들의 생활 수준 향상과 더불어 식품 안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콜드체인 물류 시스템 투자와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 집중도 제고, 통일 표준 마련 시급

하지만 업계 집중도가 낮고 업계 통일화된 표준 마련이 시급한 점 등 문제점도 산재해 있다.

중국 국부펀드 중터우(中投ㆍCIC 중국투자공사) 연구총감 궈판리(郭凡礼)는 "콜드체인 배송이 주로 1선도시를 비롯한 경제발달 지역의 고소득층 소비자에게 집중되어 있다"면서 "콜드체인 물류 초기 투자 비용이 만만치 않아 이 업계에 진출한 기업들이 아직까지는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중국물류구매연합회 추이중푸(崔忠付) 부회장도 "기업들의 물류 아웃소싱 비중이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고 업계 집중도가 낮으며 동질화 경쟁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시급히 개선해야할 문제점들을 지적했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제3자 콜드체인 물류기업 영업수입(매출액)이 억 위안대를 넘는 기업은 10여 곳에 불과하며, 매출 1000만 위안(약 17억원)을 넘는 곳도 680개 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들은 콜드체인 물류 업계 표준과 법적 강제성이 없다는 점도 시급한 해결과제로 지목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강제적 업계 표준이 없어 중소기업이 제품 운송 과정에서 비용 절약을 위해 냉장 시스템을 꺼버리고 운송 목적지에 다다라서야 켜는 일이 비일비재 하다"면서 "소비자들이 유통기간이 지나지 않은 유제품을 먹고도 배탈이나는 사례가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궈판리 중터우 연구총감은 "낮은 업계 집중도와 통일 표준 부재는 부당경쟁과 업계 질서 혼란으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콜드체인 물류업계도 물류추적시스템을 구축해 상품 품질과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 요구된다"며 "무엇보다 관련 법규 마련과 정부는 물론 기업의 지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李정부, 123개 국정과제 공식 확정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정부가 향후 5년간 국정 운영의 핵심 로드맵이 될 123대 국정과제를 본격 추진한다. 정부는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국정과제를 포함한 국정과제 관리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123대 국정과제는 지난달 13일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제안한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정부 차원의 검토 및 조정·보완을 거쳐 확정한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오전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하면서 국가균형발전에 대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KTV] 최종 확정된 국정과제 체계는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비전 아래 5대 국정목표, 23대 추진전략, 123대 과제로 구성됐다. 5대 국정목표는 ▲국민이 하나되는 정치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기본이 튼튼한 사회 ▲국익 중심의 외교안보다. 우선 정부는 국민주권 실현 및 대통령 책임 강화를 위한 개헌을 추진한다. 4년 연임제 및 결선투표제 도입, 감사원 국회 소속 이관, 대통령 거부권 제한, 국무총리 국회추천제 도입 등이 개헌안에 담길 전망이다. 권력기관 개혁을 통한 민주주의 확립, 독자 인공지능(AI) 생태계 및 AI고속도로 구축, 5극3특 중심 혁신·일자리 거점 조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 산재 감축 등의 내용도 국정과제에 담겼다. 또 이재명 정부 임기 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완료하는 강군 육성 방안도 포함됐다. 행정수도 세종 완성과 2차 공공기관 이전도 차질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오전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가균형발전 관련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있다. [사진=KTV]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범정부 추진체계도 구축한다. 온라인 국정관리시스템과 오프라인 범부처 협의체를 운영, 국정과제 추진상황을 지속 관리한다. 입법성과 조기 창출을 위해 법제처에 국정입법상황실을 두고, 국정과제 입법 전주기를 밀착 관리한다. 국정과제 중 입법조치가 필요한 사항은 법률 751건, 하위법령 215건 등 총 966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법률안 110건은 연내 국회 제출하고, 하위법령 66건 올해 제·개정한다는 계획이다. 국정과제 추진과정에서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정책성과를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 온라인 소통창구인 '국정과제 소통광장'을 마련, 국민이 제기한 의견을 정부가 신속히 답하는 쌍방향 소통채널을 만든다. 국민만족도 조사는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민생 관련 중요 국정과제는 민관합동 현장점검을 실시한다. 국정과제 추진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정부업무평가 기본계획('25~'27)' 및 '2025년도 정부업무평가 시행계획 수정안'도 이날 국무회의에서 확정됐다. 올해는 미래 전략산업 육성 등 각 부처가 역점 추진하는 정책과제, 신산업 등 규제 합리화, AI 활용 일하는 방식 혁신, 디지털 소통·홍보 노력 강화 등을 중점 평가할 예정이다. 국민주권정부에 걸맞게 평가 과정에 국민 참여를 확대하고, 국민 만족도 조사 결과도 비중 있게 반영한다. 국무조정실은 "향후 국정과제 추진과정에서 국민의견을 수시로 청취하고 소통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며 "국민요구와 정책여건 변화를 반영해 이행계획도 지속 보완하며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9-16 14:04
사진
코어위브, 엔비디아와 8조원대 계약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데이터센터 운영업체인 코어위브(종목코드: CRWV)는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와 63억 달러(8조7160억원)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 주문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엔비디아는 이번 계약을 통해 2032년 4월 13일 까지 코어위브가 고객에게 판매하지 않은 모든 클라우드 용량을 구매하기로 했다. 엔비디아와 수주 계약 체결 소식이 전해진 후 코어위브 주가는 뉴욕 정규장 거래에서 8% 상승했다. 지난 3월 상장 이후 이 회사 주가는 3배 뛰었다. 코어위브는 미국과 유럽에서 엔비디아의 GPU 칩을 탑재한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며 이를 임대하거나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을 판매하고 있다. 이번 계약으로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의 핵심 클라우드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AI 컴퓨팅 용량 수요 감소 가능성에 대한 완충장치를 마련하게 됐다고 로이터 통신은 평가했다. 코어위브는 일찌감치 엔비디아의 눈도장을 받아 2023년 투자를 받았다. 엔비디아는 코어위브 지분을 6% 넘게 보유하고 있다. 코어위브는 지난 3월 공모가 40달러에 뉴욕 증시에 상장한 후 AI 열풍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 급증에 힘입어 주가가 급등했다. 투자은행 바클레이즈는 "이번 계약은 최종 고객과 상관없이 용량이 활용될 것을 보장함으로써 코어위브의 안전장치 역할을 한다"며 "투자자들은 코어위브가 최대 고객사 2곳(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 외에 데이터센터 용량을 채울 수 있을지 우려해왔는데, 이번 계약으로 이런 우려가 사라졌다"고 분석했다.  코어위브 로고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9.16 kongsikpark@newspim.com 코어위브는 지난 3월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119억 달러 규모의 5년 계약에 합의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을 제공하기로 한 바 있다. 오픈AI는 2029년 4월까지 40억 달러까지 지급하기로 약속하는 추가 협정을 맺었다. kongsikpark@newspim.com 2025-09-16 13:03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