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 개혁 연기할 경우 화 자초" 지적
<출처 : AP/뉴시스> |
특히 이번 연준의 결정을 근거로 중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구조적 개혁을 연기할 경우 화를 자초하는 결과를 빚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2008년 미국 금융위기 이후 아시아 경제는 연준을 포함한 선진국 중앙은행이 풀어낸 유동성이 밀려든 데 따른 잔치였을 뿐 펀더멘털의 탄탄한 얼개를 세우지 못한 상황이라는 평가다.
연준의 자산 매입 축소가 궁극적으로 시행될 사안이며, 지난 5월 하순 이후 벌어진 상황에서 보듯 유동성이 썰물을 이루면서 패닉에 빠지는 시나리오가 되풀이될 것이라는 얘기다.
HSBC의 프레드릭 뉴만 이코노미스트는 “값싼 유동성의 공급이 장기화될수록 아시아 이머징마켓의 구조적 개혁은 더 늦춰지고, 그만큼 유동성 유출에 따른 리스크는 높아진다”고 주장했다.
시장 애널리스트가 우려하는 것은 신흥국의 늘어나는 부채다. 시장금리가 상승하는 초기에는 이를 감내할 수 있겠지만 중장기적으로 생산성이 위축될 수밖에 없고, 부채 증가에 따른 역풍이 경기 전반을 강타할 것이라는 얘기다.
과거 1990년대 후반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와 비교할 때 자국 통화 부채의 비중이 높아졌고, 외환보유액이 증가한 것이 사실이지만 외부 유동성에 대한 경제 성장 의존도가 상당폭 높아졌다는 점을 주시해야 한다고 이코노미스트는 강조했다.
중국을 포함한 상당수의 국가가 여전히 비효율적인 국유 기업의 시장 지배력이 지나치게 높은 실정이며, 이 때문에 민간 기업의 성장이 저해되는 상황이다.
단기 수익률을 겨냥한 자금이 아닌 중장기적인 해외 자본의 투자를 저해하는 제도적 병폐가 해소되지 않은 점도 투자가들이 우려하는 부분이다.
노무라는 리서치 보고서를 통해 “현 시점에 특히 주시하는 아시아 신흥국의 문제는 글로벌 유동성 유입에 따른 구조적 개혁의 후퇴 여부”라며 “공급 측면의 개혁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도이체방크의 타이무르 바이그 이코노미스트는 “자산 가격이 지나치게 오른 상황이며 부동산을 포함한 버블과 과잉 신용 리스크가 잠재돼 있다”고 판단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