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랑 부족한데 덩치만 키워 해외진출? 리스크 더 커져”
- ‘금융선진화를 위한 비전 및 정책과제’ 심포지엄서 논란
[뉴스핌=배규민 기자] 금융선진화를 위한 한 방안으로 메가뱅크를 만들어 글로벌화를 이뤄야 한다는 (금융위원회 발주) 연구결과에 대해 많은 학계 전문가들이 반대하고 나서 눈길을 끈다.
정부는 전문가들과 시장의 이야기를 들은 후 정책화 여부와 방향성 등 세부추진 방안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혀 그 결과가 주목된다.
8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선진화를 위한 비전 및 정책과제’ 심포지엄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 금융산업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한 열띤 토론이 펼쳐졌다.
이날 심포지엄은 금융연구원과 자본시장연구원, 보험연구원이 공동으로 발표한 금융선진화 방안에 대해 학계의 의견을 듣고 토론하는 자리였다.
무엇보다 쟁점으로 떠오는 것은 '금융선진화를 위한 방안으로 은행의 대형화와 글로벌화가 과연 옳은 방향인가'이다.
구본성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주제발표를 통해 “인수합병을 통해 대형은행을 만들고 중형은행 및 지방은행과 역할을 나눌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인호 서울대학교 교수는 “금융기관의 내부역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합병을 통해 덩치만 키워 놓는 것이 오히려 더 위험하다”고 반박했다.
김대식 한양대학교 교수 역시 “은행을 무조건 합친다고 경쟁력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며 “국내은행이 지금 규모라고 해서 못할 일이 뭐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그는 “국내은행을 다 합병해도 세계 10위안에 들지 못한다”며 중견은행이지만 강한 은행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 교수는 은행 대형화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봐야 한다면서 역량을 강화할 생각은 하지 않고 규모가 키워서 해외로 나간다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라고 꼬집었다.
은행 글로벌화와 관련해 박경서 고려대학교 교수는 “삼성전자는 똑같은 휴대폰을 전 세계에 팔 수 있지만 은행의 해외진출은 다르다”고 말했다.
그는 “조급한 마음으로 글로벌화를 추진하다 보면 위험이 따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금융회사경영연구실장은 “무게중심을 해외로 옮기자는 것이 아니라 은행들이 규모에 비해 너무 국내에만 머물러 있다”며 “당장은 어렵겠지만 중장기적으로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이해해 달라”고 했다.
그렇지만 금융당국 관계자마저 은행 글로벌화에 대한 우려를 드러내 눈길을 끈다.
홍영만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국장은 “은행 수익원 다변화 차원에서 해외진출을 하자고 하는데 그렇다면 해외로 나가면 모두 수익이 나는가”라며 의문을 제기했다.
국내 시장이 포화되고 수익성이 낮아 해외로 나간다고 하지만 그렇다고 해외시장은 만만 하느냐는 뜻이다.
이어 그는 “세계적으로 자본성 규제가 강화되면서 올해와 내년 은행들의 영업환경이 녹록치 않다”며 “이런 환경을 반영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선진화 방안이 없어 아쉽다”고 덧붙였다.
- ‘금융선진화를 위한 비전 및 정책과제’ 심포지엄서 논란
[뉴스핌=배규민 기자] 금융선진화를 위한 한 방안으로 메가뱅크를 만들어 글로벌화를 이뤄야 한다는 (금융위원회 발주) 연구결과에 대해 많은 학계 전문가들이 반대하고 나서 눈길을 끈다.
정부는 전문가들과 시장의 이야기를 들은 후 정책화 여부와 방향성 등 세부추진 방안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혀 그 결과가 주목된다.
8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선진화를 위한 비전 및 정책과제’ 심포지엄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 금융산업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한 열띤 토론이 펼쳐졌다.
이날 심포지엄은 금융연구원과 자본시장연구원, 보험연구원이 공동으로 발표한 금융선진화 방안에 대해 학계의 의견을 듣고 토론하는 자리였다.
무엇보다 쟁점으로 떠오는 것은 '금융선진화를 위한 방안으로 은행의 대형화와 글로벌화가 과연 옳은 방향인가'이다.
구본성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주제발표를 통해 “인수합병을 통해 대형은행을 만들고 중형은행 및 지방은행과 역할을 나눌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인호 서울대학교 교수는 “금융기관의 내부역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합병을 통해 덩치만 키워 놓는 것이 오히려 더 위험하다”고 반박했다.
김대식 한양대학교 교수 역시 “은행을 무조건 합친다고 경쟁력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며 “국내은행이 지금 규모라고 해서 못할 일이 뭐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그는 “국내은행을 다 합병해도 세계 10위안에 들지 못한다”며 중견은행이지만 강한 은행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 교수는 은행 대형화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봐야 한다면서 역량을 강화할 생각은 하지 않고 규모가 키워서 해외로 나간다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라고 꼬집었다.
은행 글로벌화와 관련해 박경서 고려대학교 교수는 “삼성전자는 똑같은 휴대폰을 전 세계에 팔 수 있지만 은행의 해외진출은 다르다”고 말했다.
그는 “조급한 마음으로 글로벌화를 추진하다 보면 위험이 따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금융회사경영연구실장은 “무게중심을 해외로 옮기자는 것이 아니라 은행들이 규모에 비해 너무 국내에만 머물러 있다”며 “당장은 어렵겠지만 중장기적으로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이해해 달라”고 했다.
그렇지만 금융당국 관계자마저 은행 글로벌화에 대한 우려를 드러내 눈길을 끈다.
홍영만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국장은 “은행 수익원 다변화 차원에서 해외진출을 하자고 하는데 그렇다면 해외로 나가면 모두 수익이 나는가”라며 의문을 제기했다.
국내 시장이 포화되고 수익성이 낮아 해외로 나간다고 하지만 그렇다고 해외시장은 만만 하느냐는 뜻이다.
이어 그는 “세계적으로 자본성 규제가 강화되면서 올해와 내년 은행들의 영업환경이 녹록치 않다”며 “이런 환경을 반영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선진화 방안이 없어 아쉽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