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현지시각) 미국 온라인 금융매체 마켓와치(MarketWatch)에 따르면, 일부 시장 전문가들이 "상품 가격이 고점을 지났을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의견과 함께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수준까지 조정 받을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고 전했다.
다만 이들 상품 가격이 상승장 내에서 일시 조정인지 아니면 추세 자체가 완전히 역전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한 논란은 아직 뜨겁다는 지적이다.
◆ "일단 고점지났을 가능성"
폴 놀트(Paul Nolte) 힌스데일즈어소이에이츠(Hinsdale's Associates) 투자담당 이사는 "[상품시장이 고점을 지났을] 가능성이 분명해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은 초기 단계로 보이지만 에너지 가격은 고점 대비 20% 내지 30% 정도 조정 받을 것 같다. 게다가 에너지 가격은 다른 상품들에게도 대표주자로 인식되고 있다"며 유가 하락을 따라 여타 상품 가격도 동반 조정받을 수 있다는 시각을 나타냈다.
이날 뉴욕 시장의 원유선물은 전일 종가대비 5달러 넘게 급락해 1991년 1월 이후 최대 일일 낙폭을 기록했다. 장중 135.50달러까지 하락하며 지난주 목요일 고점 대비 6.4% 하락률을 나타냈다.
프랭크 홈즈(Frank Holmes) US글로벌인베스터스의 대표이사도 "유가 조정 국면에 진입한 것 같다"는 의견이다.
중국과 인도 등의 지칠줄 모르는 수요 증가 때문에 상품시장 전망을 낙관해 온 그는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선까지 하락할 수는 있어도 전체적으로 보면 랠리 모드에 있다는 판단을 고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틀간 유가 급락을 따라 여타 상품 가격도 크게 하락했다. 특히 옥수수 선물 가격이 사흘 연속 급락했고, 대두 및 소맥 선물 역시 급락했다.
이들 상품 가격 하락 요인은 다양했다. 달러화 가치 강세와 미국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 전망, 대선을 앞둔 미국 의회의 휘발유 가격 인하 노력 등이 동시적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마켓와치는 아직 많은 전문가들이 유가 및 상품 선물 가격이 다시 사상 최고치를 돌파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점도 소개했다.
◆ 추세 전환 판단은.. "시기 상조"
앞서 놀테 이사는 "20% 내지 30% 조정은 기간이 오래 걸릴 것이며 또 과거 IT거품처럼 상품시장의 거품이 이제 끝났다고 보고 지속적으로 매도해야 가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배리 리솔츠(Barry Ritholtz) 퓨전IQ 주식분석 담당 이사는 "유지 불가능해지면 무너지게 되어 있다"면서 "유가가 배럴당 150달러 선으로 올라서고 300달러 고지가 보인다고 한다면 경제가 타격을 입고 수요가 무너지면서 유가도 내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올들어 국제유가가 46%나 급등한 것 외에도 옥수수 선물 가격은 6월에만 21%, 2/4분기엔 28% 그리고 상반기 중에서 60%나 상승한 바 있다.
귀금속류에서도 금 선물 가격이 상반기 11% 상승했고, 은 선물도 17% 올랐다. 기초 금속 중에서는 전기동 선물 가격이 28% 가까이 급등했다.
그러나 유가는 수급 우려 외에도 지정학적 위기나 허리케이 악재 등에도 춤을 출 수 있다. 빌 오닐(Bill O'Neil) 로직어드바이저스의 매니징파트너는 "한 가지 헤드라인에도 유가는 5달러 상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추가 조정 받을 여지가 있겠지만, 상품시장의 랠리가 끝났다고 말할 수는 없다. 과거에도 이런 경험이 몇 차례 있었지만 당장 고점을 지났다는 것은 섣부른 견해"라고 주장했다.
과거와는 사정이 다르다고 보는 전문가들은 특히 달러화가 더이상 약세를 보이지 않을 것 같다는 점을 제기했다.
제프리 소트(Jeffrey Saut) 레이먼드제임스 수속 시장전략가는 "2001년 4/4분기 이래 달러 약세론자로 지내왔지만, 이제는 더이상 그렇지 않다"며, 자신은 그 동안 상품시장 강세론자였지만 지금은 일시적이라고 해도 강세장이 종료될 것 같은 인상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투기적인 거품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지금부터 대선 시기까지 핫머니가 빠져나갈 경우 상품시장이 조정받을 수는 있다고 본다"는 입장이다.
로버트 패블릭(Robert Pavlik) 오크트리애셋매니지먼트의 주식전략가는 유가 및 상품 가격 조정에 따라 관련주들이 급락할 경우 좋은 매수 기회가 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