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한국은행의 콜금리 인상은 통화당국의 정책기조 전환에 대한 성격이 짙다며 금융시장의 새로운 균형을 모색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금융연구원이 9일 발표한 '금리인상과 금융시장의 안정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6월 한은의 콜금리 인상은 환율인하로 인한 수출둔화와 소비심리의 회복 지연 등에 대한 우려가 우세한 가운데 단행돼 시장에 충격으로 다가왔다며, 이는 통화당국의 정책기조 전환에 대한 성격이 짙은 것으로 해석됐다. 특히 우리나라의 물가수준은 동일한 경제규모 또는 무역규모에 속한 국가들과 비교해 볼 때 아직까지 안정적 수준이라고 평가하기는 어려우며,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원자재가격의 상승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 물가상승이 발생할 경우 금리인상에 대한 유인은 더욱 확대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예측했다. 금융연구원 구본성 연구위원은 "최근의 금리인상은 금융시장의 새로운 균형을 모색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며 "금융시장의 새로운 균형은 그동안의 순응적 금리정책에 따라 형성된 자산가격의 변화 또는 금융주체별 재무구조의 변화과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금리인상 기조에 따른 금융시장의 변화는 장기적 관점에서의 대응을 통해 불안요인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위해 대내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예방적 접근과 생산성 개선을 통한 기업의 수익성 강화, 장기 상환가능성을 중시하는 금융회사의 중개기능 등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가계부문은 장기적 관점에서 부채수준을 적정화하는 관행을 정착시킬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다만 소득 대비 부채상환비율의 지나친 상승은 투자수요나 장기금융수요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부채 축소를 위한 장기금융상품의 조기해약이나 환매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투자수요의 급격한 감소는 자산가격의 하락을 초래함으로써 구조적 위기의 위험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기업부문의 경우 수익성 개선을 위한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의 수익성 개선은 저금리에 따른 소비 확대에 부분적으로 기인하고 있는 만큼 생산성 제고 등과 같은 효율성 개선을 위한 노력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금융사는 금리상승의 지속으로 인한 장기위험의 관리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금융자산의 급격한 조정을 최소화하고 장기간에 걸쳐 탄력적 조정이 이뤄질 수 있는 유인책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외국인의 투자수요 축소로 인한 자산가격의 하락을 완화하고 국내 투자자에 의한 대체수요 형성이 이뤄질 수 있도록 장기간에 걸쳐 투자하는 적립식상품이나 개인투자계좌제도 등도 보다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뉴스핌 newspim] 김종수 기자 js33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