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한국금융투자협회는 내년 채권 및 크레딧시장 전망과 투자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채권포럼을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포럼에서 '2026년 채권시장 전망과 투자전략'을 발표한 김지만 삼성증권 수석연구위원은 "한국 경제가 올해 1% 수준의 성장률에서 내년 2.2%로 큰 폭의 개선이 예상된다"며 "물가 불안 요인이 잠재해 있고 부동산 시장 등 금융안정 여건을 점검해야 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사실상 추가 기준금리 인하가 쉽지 않아 2026년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현 수준 동결을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 |
| 금융투자협회, 금투협 / 이형석 기자 |
김 연구위원은 "2026년 국채발행이 232조원으로 부담스러운 수준이지만, 한국 국채시장이 세계국채지수(WGBI)에 편입돼 내년 4~11월 중 80조원에 이르는 막대한 패시브 자금이 유입된다는 점은 수급상 큰 호재"라며 "일본공적연금(GPIF) 16조원을 포함해 일본계 자금 유입이 클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현재 채권금리는 이미 기준금리 인하 종료를 반영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전략적으로 당장은 금리 변동성 위험이 큰 장기채에 대한 방향성 베팅보다 5년 이하 영역에서 'Carry & Roll-down'에 집중하는 것이 위험 대비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2026년 크레딧시장 전망과 투자전략'을 발표한 윤원태 SK증권 자산전략부서장은 "올해 대비 내년 크레딧 채권 발행량은 소폭 늘어나지만, 투자 수요는 오히려 감소해 전반적인 수급여건이 악화될 것"이라며 "이에 따라 크레딧 스프레드 확대가 불가피하고, 수요층 약화로 스프레드 변동성도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윤 부서장은 "2026년에는 올해 시장 강세를 견인했던 레포펀드 자금의 만기가 집중적으로 돌아오면서 6개월~1년 이내 여전채 중심의 매도 물량 부담이 확대될 것"이라며 "레포펀드 자금 회수는 크레딧 시장 내 추가적인 수급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내년 크레딧 시장 내에는 양극화가 한층 심화될 것이며, 특히 하이일드펀드 분리과세 혜택이 2024년 말 종료되면서 하이일드채권 수요가 이미 둔화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하이일드펀드 분리과세 혜택의 재도입 및 중소·중견기업 자금조달 지원을 위한 적격기관투자자(QIB) 제도 활성화 등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rkgml925@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