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 2만9000가구 공공분양 계획
서울 1300가구, 인천 3600가구, 경기 2만3800가구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내년 수도권에서 당초 계획보다 약 2000가구 늘어난 2만9000가구의 공공분양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특히 3기 신도시인 고양창릉과 시흥거모, 구리갈매역세권 등에서 물량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
|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26일 국토부 기자실에서 김배성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이 '2026년 수도권 공공택지 공공분양 공급계획'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11.26 min72@newspim.com |
26일 국토부 기자실에서 열린 '2026년 수도권 공공택지 공공분양 공급계획 백브리핑'에서 김배성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은 "세부설계나 평형수 조절을 통해 (공급) 증감이 있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단장은 "전체적으로 보면 수요가 많은 지구가 많이 포함돼 있다"면서 "3기 신도시에서 큰 규모로 공급이 이뤄지고 중소택지들도 입지가 좋은 곳이 많아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내년 서울 1300가구, 인천 3600가구, 경기 2만3800가구 등 2만9000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 가운데 4100가구는 장기간 활용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계획된 유보지 등 비주택용지의 용도를 변경해 공급한다.
김 단장은 "새로 땅을 찾아 조성하고 착공하는 과정에서 보상 등의 절차로 시간이 걸린다"면서 "용도전환 방식은 전체적으로 땅이 만들어져 있는 상태에서 (용지) 성격만 바꾸는 바꾸는 것이기 때문에 길어도 2년 정도로, 새로운 택지를 조성하는것 보다 빠르게 공급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내년 서울 공공분양은 고덕강일 1305가구에 불과하다는 지적에 대해서 김 단장은 "고덕강일의 경우 용도가 확정이 안됐거나 교육청 등과 협의가 안됐던 땅이 있다"면서 "SH 사업지구 중 준공이 안되고 남아있는 시설들도 있어 추가적으로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내년안에 착공이 이뤄질 경우 입주는 2029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단장은 "안정상의 이유로 공사기간이 늘어난 부분이 있다"면서 "입주까지 3년 정도 걸린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예상 분양가에 대해선 즉답을 피했다. 김 단장은 "분양전 분양가심의위원회에서 결정하기 때문에 예단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연말 예고된 추가 대책과는 별개라는 입장이다. 김 단장은 "(발표내용이) 딱 잘라 말하긴 어렵다"면서 "연말까지 9·7 대책에서 발표했던 여러가지 내용들을 구체화시키고 공급에 관련된건 새로운 내용이 준비되는 대로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