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가공·유통 통합 플랫폼 구축...먹거리통합지원·가공지원·공공청사 등 본격 착수
[전주=뉴스핌] 이백수 기자 = 전북 전주시가 덕진구 도도동을 지역 먹거리 선순환의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생산·가공·유통·행정 기능을 한곳에 집약하는 미래농업 클러스터 조성에 본격 착수한다고 25일 밝혔다.
전주시 농업기술센터는 도도동 일원에 먹거리통합지원센터와 농산물 종합가공지원센터, 공공 통합청사 건립을 연계해 추진할 계획이다.
먹거리통합지원센터는 지역 농산물의 기획생산과 선별·저장·물류를 통합 관리하는 핵심 기반시설로, 도도동 491-4번지 일원 4624㎡ 부지에 지상 2층, 연면적 2937㎡ 규모로 건립된다.
![]() |
| 먹거리통합지원센터 조감도[사진=전주시]2025.11.25 lbs0964@newspim.com |
내년 완공 예정인 이 센터가 문을 열면 학교·공공 급식에 필요한 신선하고 안전한 지역 식재료 공급 체계가 강화되고, 현재 월드컵경기장 내 급식센터를 대체해 공급능력도 17t에서 30t으로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도동 488-2번지 일원에서 추진되는 농산물 종합가공지원센터도 내년 준공된다.
총 24억6000만 원이 투입되는 이 센터는 전처리실과 가공실, 건조·분쇄실, 베이커리·젤라또 제조실 등 위생시설과 전문 장비를 갖춘 가공 전문 플랫폼으로, 지역 농업인의 가공·창업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농식품 창업 인큐베이터' 역할을 수행한다.
시는 이곳에서 잼·음료·빵·액상차 등 다양한 제품생산과 시제품 개발, 기술교육, 창업보육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농산물 부가가치 창출과 청년농 육성의 중심 공간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도도동 일원에는 농업기술센터 공공 통합청사도 새롭게 들어선다. 도도동 일원 27678㎡ 부지에 연면적 7857㎡ 규모로 조성되는 통합청사는 2030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되며, 시는 내년에 부지를 확보한 후 2027년부터 설계 공모 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공공 통합청사가 들어서면 연구·지도 기능과 공공 인프라 관리 기능이 한 곳에 집적화돼 농업행정의 효율성과 전문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향후 이들 시설이 도도동에 집적화되면 지역 농산물의 생산부터 가공, 유통, 소비를 잇는 '전주형 도시농업 생태계'가 완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는 농업인에게는 안정적인 판로와 가공 기회를 제공하고, 소비자에게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역 먹거리를 공급하며, 도시에는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기반을 확보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시는 향후 시설별 건립 절차를 차질 없이 추진하는 동시에 시설 간 연계 프로그램과 통합 운영 전략을 마련해 도도동을 전주농업의 새로운 중심지로 육성할 방침이다.
lbs096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