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상욱 기자 = FA 최대어 박찬호의 행선지가 두산으로 정리되는 분위기다. 극적인 변수가 아니라면 최종 발표만 남은 상황이다.
박찬호 영입전은 시장 초반부터 관심을 받았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KIA를 포함한 여러 구단이 금액 제안을 했고 그중 두산이 가장 높은 수준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100억 원대 금액은 논의되지 않았지만, 시즌 전 업계 예상을 크게 웃도는 조건이 오간 것은 사실로 보인다.
![]() |
| 박찬호. [사진=KIA] |
지난해 심우준이 한화와 4년 50억 원 계약을 맺은 이후 성적에서 앞선 박찬호는 자연스럽게 '50억 이상'이라는 기준이 형성됐다. 여기에 KIA, 롯데, KT, 두산까지 유격수 보강 수요가 겹치며 경쟁이 확대됐다. 박찬호 측은 4개 구단으로부터 제안을 받았고 업계는 두산이 가장 높은 금액을 제시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두산은 시장 개장 첫날부터 꾸준히 접촉하며 신뢰를 쌓았다. 두산 관계자들은 박찬호에게 "향후 4년간 구단 핵심 축"이라는 점을 강조했고, 선수 측도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전력 보강에 대한 확고한 의지가 두산의 베팅을 뒷받침했다. 9위에 그쳤던 지난 시즌을 만회하고 가을야구 복귀를 목표로 한 로스터 재편도 배경으로 작용했다.
![]() |
| 박찬호. [사진=KIA] |
KIA는 두산의 제시액을 맞출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박찬호 없는 플랜을 검토 중이다. 내야 백업 자원의 유격수 전환, 아시아쿼터 활용 등이 논의되고 있다. 김도영의 유격수 기용도 검토되고 있지만, 올해 햄스트링 부상 세 차례를 겪은 점을 고려해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
롯데는 실탄을 확보했지만 두산의 금액을 따라가지 못하며 플랜B로 전환해야 한다. 김태형 감독이 귀국한 뒤 대체 시나리오 논의가 본격 진행될 전망이다. KT 역시 강백호의 잔류 여부라는 별도의 변수가 있어 오프시즌 전략을 다시 세워야 한다.
박찬호의 두산행이 확정되면 FA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첫 계약이 기준점 역할을 하며 일부 포지션에서 가격 상승이 이뤄질 수 있다. 경쟁이 붙는 선수들에게는 유리한 시장 환경이 될 수 있다.
psoq1337@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