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화 통해 "소수 이익집단" 강변
"개헌 시도 말라" 해괴한 주장 펼쳐
고위급 내세운 선전전 강화 움직임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이 캐나다 주요 7개국(G7) 외무장관 회담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문제가 강조된데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최선희 외무상은 13일 담화에서 G7 외무장관의 공동성명 발표에 대해 "노골적인 적대적 행위에 강한 불만과 유감을 표시하며 이에 가장 강력한 수사적 표현을 이용하여 단호히 규탄‧배격한다"고 말했다.
![]() |
| 최선희 북한 외무상 [사진=로이터 뉴스핌] |
14일 관영 조선중앙통신으로 공개된 이 담화에서 최선희는 "세인이 실현 불가능한 개념이라고 인정하는 '비핵화'를 아직까지도 습관적으로 합창하는 G7의 타성적인 집념은 스스로를 국제사회의 변두리로 몰아가고 자기들이 국제관계의 한구석에 놓이는 소외된 소수 이익집단임을 증명해 보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현 지위는 외부의 수사학적 주장에 따라 달라지지 않으며 오늘의 엄혹한 지정학적 환경 속에서 핵보유는 가장 위험하고 적대적인 국가들을 억제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선택으로 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 누구도 우리에게 위헌을 강요할 권리가 없으며 개헌을 시도하지도 말아야 한다"며 북한 헌법에 자신들이 '핵보유국'을 명시해놓고 있는 점을 강조했다.
최선희는 "외부의 핵위협이 종식되지 않는 한, 핵을 폭제의 수단으로 삼고 절대적인 패권을 추구하는 세력이 존재하는 한 핵보유를 영구화한 헌법에 끝까지 충실함으로써 국가와 인민의 현재와 미래를 담보하고 국제적 정의를 실현하려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의지는 확고부동하다"고 강변했다.
미국과 일본‧영국을 비롯한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은 지난 12일(현지시간) 캐나다 온타리오주 나이아가라 지역에서 만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북한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강력하게 규탄하며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 |
| [서울=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북한 풍계리 핵 실험장의 2번 갱도 입구 모습.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핵 실험장 공개 폐쇄 입장에 따라 2018년 5월 25일 현장을 방문했던 취재진에 의해 촬영됐다. |
이 자리에서는 북한의 가상화폐 절취와 납치 문제도 다뤄졌지만 최선희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북한은 지난 7일 노광철 국방상 명의의 담화에서 한미 합동 군사훈련과 국방장관 간 연례 안보협의회(SCM)에 반발하는 등 고위인사를 내세운 선전전에 나서고 있다.
yjlee@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