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제11회 믹타(MIKTA) 국회의장회의 개최
우 의장, 각국 대표단 회담…산업 협력 등 논의
5개국 공동성명서 채택…"한반도 평화 위해 연대"
[서울=뉴스핌] 신정인 기자 = 우원식 국회의장은 12일 중견국 협의체인 '믹타'(MIKTA) 국회의장회의에서 다자주의에 기반한 국제 협력과 포용적 리더십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이날 서울 광진구 그랜드&비스타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제11회 믹타(MIKTA) 국회의장회의' 개회식에서 "지정학적 갈등 심화와 복합적 위기 가운데 자국의 이익을 수호하기 위한 세계 각국의 노력도 매우 치열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 |
| [서울=뉴스핌] 신정인 기자 = 우원식 국회의장이 12일 오후 서울 광진구 그랜드&비스타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제11차 믹타(MIKTA) 국회의장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1.12 allpass@newspim.com |
믹타는 대한민국과 멕시코, 인도네시아, 튀르키예, 오스트레일리아 등 주요 20개국(G20) 회원국 중 주요 7개국(G7) 또는 BRICs(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에 속하지 않은 중견국으로 구성된 지역간 협의체다.
이날 우 의장을 비롯해 푸안 마하라니 인도네시아 하원의장, 파울리나 루비오 멕시코 하원부의장, 수 라인즈 호주 상원의장 등 회원국 대표단이 참석했다.
우 의장은 "지난 10년간 우리 믹타 5개국 의회는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을 이어왔고, 이제 그 성과 위에서 새로운 10년의 도약을 준비해야"며 "믹타 의회의 포용적 리더십과 실천적 협력은 갈등과 분열,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다자주의를 다시금 강조하고 국제 협력을 추동하는 희망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했다.
우 의장은 오전에 수 라인즈 호주 상원의장과의 양자회담을 통해 양국 간 광물 산업 협력과 워킹홀리데이 프로그램 확대, 호주에 방산 생산 시설을 설치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과 관련해 논의했다.
오후에는 푸안 마하라니 인도네시아 하원의장과 만나 국내 기업들이 국가표준(SNI) 인증제도 개편으로 겪는 어려움과 해병대의 슈퍼가루다실드 연합훈련, 문화산업 협력 등에 대해 이야기 나눴다.
회의는 '통합과 공존의 미래를 위한 의회의 포용적 리더십'이라는 대주제 아래 4가지 세션으로 진행됐다.
구체적으로 ▲제1세션 '평화 구축과 인도적 지원을 위한 의회의 협력과 실천' ▲제2세션은 'AI와 기후위기 시대,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위한 의회의 역할' ▲제3세션 '사회적 약자 포용과 불평등 완화를 위한 의회의 역할 ▲제4세션 '정치양극화 해결과 사회 통합을 위한 의회의 역할' 등이다.
5개국은 모든 세션을 마친 뒤 한반도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공동성명서를 채택했다. 이들은 공동성명서를 통해 "한반도의 평화를 실현하기 위해 대화와 신뢰 구축을 통해 긴장을 완화하고, 교류와 협력을 증진하는 노력을 지속해야 함을 확인했고 이에 대한 대한민국의 노력에 지지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반도의 긴장 완화는 외교적 해법의 틀 안에서 진전돼야 한다는 데 뜻을 함께 했다"며 "우리 믹타 의회 의장은 의회외교를 통해 이런 과정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연대 및 협력을 기울일 것을 결의했다"고 했다.
한편 이번 믹타 국회의장회의는 대한민국이 의장국을 맡아 개최했다. 다음해 제12차 믹타 국회의장회의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주도 하에 열린다.
allpass@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