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경북도의회 정례회 본회의 도정 질문... "실효성 중심 정책 전환 요구"
저출생 극복 사업·청년 인구 유출 방지 대책... 실질적 지원책 마련해야
학교폭력, 오픈 대응 체계 도입... 학생 중심 예방 교육돼야
[안동=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도의회 정경민 의원(문화환경위원회 부위원장)이 '포스트 APEC'부터 학교폭력까지 경북 도정 전반의 혁신 필요성을 촉구했다.
정 도의원은 6일 속개된 제359회 제2차 정례회에서 도정 질문을 통해 " '포스트 APEC' 전략, 저출생 극복, 학교폭력 등 경북도와 도교육청의 핵심 과제에 대한 근본적인 혁신을 요구했다.
![]() |
| 정경민 경북도의원이 6일 도의회 본회의장에서 속개된 제359회 제2차 정례회에서 도정질문을 통해 " '포스트 APEC' 전략, 저출생 극복,학교폭력 등 경북도와 도교육청의 핵심과제에 대한 근본적인 혁신을 촉구하고 있다.[사진=경북도의회] 2025.11.06 nulcheon@newspim.com |
정 의원은 "지난 11월 1일 'APEC 정상회의'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평가하고 "진정한 APEC의 성공은 향후 추진될 후속 사업이 문화, 관광, 경제, 산업 등 각 분야에서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 의원은 '부산 APEC' 이후 도시 브랜드 강화 사례를 언급하고 "단기적 과제와 중장기적 과제를 별도로 수립하고, 실행 가능한 사업부터 발 빠르게 추진해야 할 것"을 제안했다.
경북도의 저출생 극복 사업에 대한 질의도 이어졌다.
정 의원은 "커플 매칭과 축제성 행사 중심으로 추진되는 저출생 극복 사업은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단순한 만남 지원을 넘어, 결혼·출산 단계별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육아·보육 환경 조성으로 '아이를 낳고 살고 싶은 경북'이라는 긍정적 인식 확산에 주력해 줄 것"을 주문했다.
또 정 의원은 '청년 인구 유출 방지' 대책 관련해 "도내 청년 정책은 간부 공무원이 만든 일방적 매뉴얼에 따른 추진"이라고 꼬집고 "정책 효과와 예산 집행이 부진한 실정이다. 경북 출신 인재가 경북과 지속적으로 교류하고, 청년이 필요로 하는 정책을 심도 있게 고민하고 추진해 줄 것"을 요구했다.
정 의원은 이어 "'개인형 이동 장치'로 인해 도민 안전이 크게 위협받고 있는 가운데, 관련 도정 질문과 조례를 개정하기도 했지만, 실질적 변화나 홍보는 전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지적하고 "경북도 차원의 적극적인 홍보와 함께 상위법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에서 경북형 정책 추진과 도민 안전을 위한 강력한 조치"를 강조했다.
![]() |
| 정경민 경북도의회 의원[사진=경북도의회] 2025.11.06 nulcheon@newspim.com |
정 의원은 학교폭력·마약·흡연의 심각성도 지적했다.
정 의원은 "학교폭력 예방 교육이 학생이 아닌 업무 담당자 중심으로 운영되고, 학생들에게는 현실과 동떨어진 비효율적 구조"라고 비판하고 "학생이 체감할 수 있는 예방 교육과 학교폭력 은폐 관행을 없애고, 오픈 대응 체계를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정 의원은 또 "SNS 등을 통해 확산되는 청소년 마약과 흡연 예방 교육에 대해서도 캠페인·교원 연수 중심의 현행 교육은 실효성이 없다"고 지적하고 "교육 지침의 최신화 등 관련 정책의 정비와 내실화"를 촉구했다.
정경민 의원은 "'APEC'을 통해 경북이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지만, 그 성과를 지속시켜 명품 경북을 만들어내는 것은 앞으로의 정책에 달려 있다"며 "관행적으로 해 오던 모든 정책을 다시 점검하고 변화를 만들어 가는 일에 도와 교육청 모두가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nulcheo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