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자체 전폭 지원에 '600만 가입자' 돌파
낮은 수수료·광고비 없는 구조, 소상공인 호응↑
공공배달앱 회의론 불식… 혜택이 경쟁력으로
재정 의존 우려… 독자 경쟁력 확보 과제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공공배달앱 '땡겨요'가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며 배달앱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고 있다. 한때 공공배달앱은 배달 속도나 앱 UI·UX 등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민간 플랫폼을 뛰어넘기 어렵다는 회의론이 우세했지만 땡겨요의 사례는 충분히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
| 신한은행의 배달 플랫폼 '땡겨요' [이미지=신한은행] |
◆ 정부·지자체 전폭 지원에 이용자 급증
27일 업계에 따르면 땡겨요는 출시 3년 만에 누적 가입자 600만 명, 누적 주문금액 1000억 원을 돌파했다. 최근까지 땡겨요는 거래액과 이용자 수 모두 폭발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특히 앞서 정부가 발급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효과를 크게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와이즈앱이 발표한 '2025년 7~8월 앱 리테일 동향'에 따르면 전년 동기 대비 소비쿠폰이 적용된 외식·배달 리테일 브랜드 중 순 결제추정금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브랜드가 땡겨요였다. 실제 지난 7~8월 동안 땡겨요의 순 결제추정금액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588.6% 늘었고, 가입자 수는 6월 500만 명 돌파 이후 두 달 만에 20% 이상 증가한 618만 명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10월 기준 일부 지표에서는 땡겨요가 이미 배달앱 3위 요기요를 추월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땡겨요는 신한은행이 2022년 선보인 공공배달앱으로,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한 할인 쿠폰 정책과 낮은 수수료 구조가 성장의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민간 배달앱 수수료가 9~10%인 반면 땡겨요는 2%만 적용해 자영업자의 부담을 크게 줄였다. 광고료도 사실상 없어 소상공인의 호응을 얻으면서 입점 가게 수도 빠르게 늘고 있다.
땡겨요의 약진에는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도 뒷받침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6월부터 650억 원 규모의 '공공배달앱 활성화 소비쿠폰 사업'을 추진하며 공공배달앱 주문 시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처음에는 2만 원 이상 3회 주문 시 월 최대 1만 원 쿠폰을 지급했지만 이후 조건을 완화해 현재는 2만 원 이상 주문 시 매일 5000원 쿠폰을 받을 수 있다. 서울시 역시 '서울배달+땡겨요 전용상품권'을 도입해 최대 15%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환급 이벤트와 온라인 판로 지원 예산을 편성해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 이 같은 정책 효과로 입소문이 퍼지면서 가입자 수가 빠르게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 |
| [이미지= 신한은행] |
◆ 공공배달앱 회의론 불식, 혜택이 경쟁력으로
땡겨요의 성장은 공공배달앱에 대한 회의론을 불식시키고 있다. 과거에는 공공배달앱이 서비스 품질에서 민간 배달앱을 따라가기 어렵다는 인식이 강했으나, 강력한 혜택과 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단기간에 가입자를 늘리며 경쟁 구도를 바꿔 놓았다. 실제로 '먹깨비', '배달특급', '대구로' 등 다른 공공배달앱 이용자 수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100.0%, 15.8%, 11.1% 증가한 66만 명, 44만 명, 30만 명을 기록했다.
다만 땡겨요의 성장세가 재정 지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정부 지원이 축소될 경우 성장세가 곧바로 꺾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민간 시장을 위협할 만큼 커진 현 시점에서는 재정 의존도를 줄이고 독자적인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쿠팡이츠와 땡겨요의 약진으로 과거 배민·요기요 중심의 양강 체제가 빠르게 4강 구도로 재편되고 있다"며 "특히 땡겨요는 수도권뿐 아니라 충청·강원 지역에서도 점유율을 높이며 전국 확산을 노리고 있다"고 말했다.
2019년 쿠팡이츠 등장 전만 해도 배달의민족이 시장 점유율 78%를 차지하며 사실상 독주 체제를 굳혔다. 그러나 지금은 배민·쿠팡이츠·땡겨요·요기요 네 개 업체가 각기 다른 전략으로 맞붙으며 경쟁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소비자와 자영업자에게는 선택지가 늘어나고 혜택이 다양해지는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사업자에게는 출혈 경쟁이 불가피하다. 독자적인 수익 모델을 구축하고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느냐가 시장의 승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 |
| 정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서비스 성과 및 전국 확대방안 논의 [사진=신한은행 제공] |
mkyo@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