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로봇 SI·AI 솔루션 전문기업 고성엔지니어링은 AI 전문기업 DDE와 협력해 '한국전자전'(KES 2025)에서 AI 드론을 공개했다고 22일 밝혔다. 올해 56회를 맞이한 KES 2025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가 주관한다. 국내 최대 전자·IT 전시회로써 서울 코엑스에서 지난 21일부터 오는 24일까지 나흘간 진행된다.
회사는 인터넷이 없는 오프라인 환경에서 드론, MOMA, 스마트체어가 상호 작용하는 'ON Device Swarm AI'(자율 군집 AI) 컨셉으로 전시를 기획했다. 외부에서 스마트체어 사용자가 음성 명령으로 실내 공간 탐색을 지시하면 드론이 화재를 감지한다. 데이터가 공유된 MOMA 로봇이 소화기를 옮겨 화재가 진화되면 사용자도 실내로 진입한다는 스토리로 전개된다. Swarm AI가 사람의 음성 명령을 받아 스스로 인지·판단·실행하는 VLA(Vision-Language-Action) 모델을 완벽히 구현했다는 점에서 기술적 의의가 있다.
양사 관계자는 "이 드론은 아웃도어용 보다 작은 크기인 인도어 형태로 세팅됐다"며 "실내 관람객의 안전을 위해 지정된 장소를 비행하는 규모로 시연됐다"고 말했다. 또 "GPS 신호 없이 비전 카메라만으로 사물을 인식하고 자가 생성한 좌표로 완전 자율 비행을 선보였다"고 설명했다.
![]() |
KES 2025 코엑스 A홀 고성엔지니어링 부스에서 AI 드론이 비행하며 내부를 탐색하는 모습. [사진=고성엔지니어링] |
이 기술에 대한 해외 관심도 주목된다. 룩셈부르크 경제, 산업계 주요 인사들이 AI 드론 산업 기술현황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오는 23일 부스를 방문할 예정이다. 시찰단은 ▲룩셈부르크 산업연맹(FEDIL) 알렉스 슈만(Alex Schumann) 부회장 ▲데이터 인프라 공기업 룩스코넥트(LuxConnect) 폴 콘스부룩(Paul Konsbruck) CEO ▲현지 유력 언론사 RTL 크리스토프 구센(Christophe Goossens) CEO 등으로 구성됐다.
앞서 이 회사는 파트너사 DDE(DATA DESIGN ENGINEERING)로부터 GPS-Denied 등 다수의 AI 기술을 확보해 국내 및 아시아 사업 권한을 보유한 상태다. 이번 전시에서 소개한 GPS-Denied 드론으로 투자의 가시적 성과를 증명했다. GPS 전파방해(jamming) 환경을 극복한 오프라인 AI로 아웃도어에서 더 고도화한 기능으로 활약할 계획이다.
고성엔지니어링 최창신 대표는 "당사는 자동화 설비와 로봇 시스템 통합뿐 아니라 올해 초부터 모빌리티 사업 분야에도 진출해 AI 드론 기술 확보에 노력해왔다"며 "글로벌 안보의 핵심이자 무기체계 중심으로 떠오른 드론 시스템은 향후 방산부문에 폭 넓은 활용이 기대된다"고 언급했다. 그는 "32조원 규모로 성장할 시장에 맞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으로 신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최근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마켓(MarketsandMarkets)이 발표한 'Military Drone (UAV) Market Size, Share & Trends, 2025 to 2030'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군용 드론 시장규모는 지난해 대비 3.74% 증가한 158억 달러(약 22조 6098억원) 규모로 추산됐다. 향후 5년간 연평균 약 7.6% 성장해 2030년에는 228억 1000만 달러(약 32조 6411억원)로 확대된다고 예측했다. 인공지능, 자율주행, 군집 기술 발전이 드론 활용 범위 확장에 기여하고 글로벌 국방 예산증가, ISR (정보·감시·정찰) 수요 등 군사 솔루션 투자가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고성엔지니어링은 지난 2023년 타임폴리오자산운용으로부터 15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어 2024년 삼성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해 IPO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사업 영역 확장으로 외형 성장과 실적 개선을 발판삼아 오는 2027년까지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는 전략이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