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DSS 장비 'C200M·C700·C100' 한자리 공개
군용 위성 단말 '맨팩' 첫 주문 완료…방산 시장 겨냥
VHF·AIS·MF/HF까지…"항해통신 일체형 플랫폼 구축"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21일 부산 벡스코 전시장. 조선·해양 전문 전시회 '코마린 2025(KORMARINE 2025)'가 개막한 첫날, 1전시장 3층에 설치된 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인텔리안테크) 부스는 개장 직후부터 조선소 관계자, 글로벌 위성통신사 및 해운선사 기술 책임자들로 북적였다. 위성통신 안테나부터 조난·항해통신 장비까지 실제 선박에 장착되는 장비들이 실물로 전시돼 현장 몰입감을 높였다.
코마린은 조선·해양플랜트, 해양에너지, 친환경 선박 기술이 한자리에 모이는 국내 최대 해양산업 전시회로, 올해는 40개국 950여개 기업(국내 430·국외 520)이 참가했다. 인텔리안테크는 이번 전시에서 기존 해상 위성통신 안테나 기업을 넘어, 해상조난안전시스템(GMDSS), 선박자동식별장치(AIS), VHF·MF/HF 등 항해통신 전 영역까지 사업 확장을 선언해 관심을 모았다.
![]() |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인텔리안테크 관계자들과 관람객들이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조선·해양 전문 전시회 '코마린 2025'에에서 참석하고 있다. 2025.10.21 nylee54@newspim.com |
가장 주목받은 장비는 이리듐(Iridium) 위성 네트워크 기반의 해상 조난통신 시스템이었다. 이날 인텔리안테크 부스에는 'C200M·C700·C100' 등 3종의 GMDSS 장비가 처음으로 한자리에서 공개됐다.
C200M은 국제해사기구(IMO)가 지정한 필수 해상 안전 설비(GMDSS)를 저궤도(LEO) 위성 기반으로 구현한 국내 최초 상용 장비로, 유럽연합 해상장비지침(MED) 휠마크(Wheelmark)와 영국 해상장비규제(MER) 레드 엔사인(Red Ensign)을 동시에 획득했다.
기존 인마셋(Inmarsat) 기반 장비가 문자 수준의 조난 신호만 전송할 수 있었다면, C200M은 SDT(Ship Distress Terminal) 인터페이스와 원터치 경보 버튼을 통해 음성통화, 해상안전정보(MSI), 비상 상황 외 데이터 전송까지 지원한다. 기존 장비 교체 수요는 물론, 신조선 탑재 시장도 동시에 겨냥한 제품이다.
김태경 인텔리안테크 국내사업팀장은 "GMDSS는 IMO 규정에 따라 300톤 이상 국제항해 선박과 승객 250명 이상 여객선, 즉 전세계 약 15만척에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장비"라며 "국내 기업이 이리듐 기반 장비로 MED와 레드 엔사인 인증을 모두 받은 것은 처음으로, 현재 국내 조선소와 해외 선주사에서 실제 적용 시기와 패키지 공급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바로 옆에는 상위 모델 'C700 GMDSS'가 전시됐다. C200M이 필수 조난·통신 기능에 집중한 기본형이라면, C700은 실시간 영상, 기관 데이터, 위성항법·엔진 상태 등 상업용 정보까지 전송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장비다. 보급형 모델인 'C100'은 내년 출시를 앞두고 있다. C200M보다 간소화된 구조로, 음성 조난·위치신호 등 필수 기능만 탑재한 엔트리급 GMDSS 단말이다.
![]() |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성상엽 인텔리안테크 대표가 '코마린 2025' 현장에서 GMDSS를 시연하고 있다. 2025.10.21 |
부스 오른편에는 인텔리안테크가 인마샛-비아샛(Inmarsat-Viasat)과 협력 중인 하이브리드 솔루션 '넥서스웨이브(NexusWave)'도 시연됐다. 화면에는 정지궤도(GEO) Ka밴드와 저궤도(LEO) 원웹(OneWeb) 위성 신호가 동시에 선박 통신망에 연결되는 구조가 구현됐다.
이태훈(Justin) 아시아태평양 영업부문 인마셋 대표 "GEO 위성은 안정적이지만 지연시간이 600~700ms로 길고, LEO 위성은 30~50ms 수준으로 빠르다"며 "넥서스웨이브는 두 네트워크를 실시간으로 묶어 속도와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폭풍우나 전파 방해로 VSAT 통신이 끊겨도 자동으로 L-밴드 위성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클라우드 기반 운항, 원격 정비, 실시간 항해 데이터 분석 같은 디지털 운항환경이 가능해진다"고 덧붙였다.
부스 한쪽에는 병사가 배낭에 넣고 이동할 수 있는 초소형 군용 위성 단말 '맨팩(Manpack)'도 전시됐다. 이 장비는 이리듐과 원웹 기반 LEO 위성망을 모두 수신하며, 크기 458×358×108mm, 무게 약 9kg으로 야전 휴대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최대 다운로드 속도는 57~70Mbps, 업로드는 10Mbps 수준으로 기존 위성전화보다 100배 이상 빠르며, 방수·방진(IP67), 영하 30℃~영상 55℃ 환경에서도 작동한다.
김 팀장은 "이미 미군으로부터 첫 주문이 들어왔고, 올해 말부터 납품을 시작한다. 현재 우크라이나 파트너를 통해 다양한 나라에서 관심을 많이 보이고 있다"며 "군사용 장비는 경량화, 데이터 암호화, 내구성이 핵심인데, 맨팩은 이 조건을 충족해 해외 군·정부기관의 관심이 높다"고 말했다.
인텔리안테크는 이번 전시에서 항해통신 통합 전략도 강조했다. 부스 한쪽에는 총 7종 DSC VHF, MF/HF 무선, AIS, NAVTEX(항행경보 수신기) 장비가 실제 선박 배치와 유사한 형태로 설치됐다. VHF 무전기에는 조난 전송 버튼이 붉게 표시됐고, AIS 화면에는 부산 앞바다를 오가는 선박 위치가 실시간 표시됐다.
김 팀장은 "GMDSS, AIS, SSAS, LRIT까지 포함한 항해통신 전 영역을 단일 브랜드로 공급하는 기업은 전 세계적으로도 드물다"며 "위성통신–항해통신–군용 단말까지 연결하는 일체형 플랫폼이 인텔리안테크의 전략 방향"이라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코마린 2025' 인텔리안테크 부스에 제품이 전시돼 있다. 2025.10.21 nylee54@newspim.com |
다음은 부산 '코마린 2025' 현장에서 성상엽 인텔리안테크 대표와 나눈 일문일답이다.
▲ 코마린 2025에서 공개한 핵심 장비와 의미는 무엇인가?
이번 전시의 핵심은 글로벌 해상 조난·안전통신 시스템(GMDSS)용 위성통신 장비다. IMO 규정에 따른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의무 장비로, 장비 이상 시 선박 출항이 제한될 정도로 중요하다. 인텔리안테크는 이리듐 기반 GMDSS 장비 C200의 국제 인증을 최근 획득했고, 곧 C700·C100 등 전체 패키지 출시를 완료할 계획이다. 이번 출시는 단순한 제품 출시가 아니라, 위성통신 단말 기업에서 해상 전자·항해 장비 시장 전체로 사업을 확장하는 신호탄이다.
▲ GMDSS 시장 공략 전략과 매출 목표는?
현재는 구체적인 숫자를 밝히기 어렵지만, 단일 제품 기준 연매출 600억~700억원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향후 5년 내 해상 전자장비 사업 전체에서 3000억~4000억원 매출을 달성하는 것이 회사의 중장기 목표다. 기존 선박 교체 시장과 신조선 탑재 시장이 동시에 열리고 있으며, 이미 국내 조선사들이 신규 선박 적용 일정 문의를 시작한 상태다.
▲경쟁사 대비 강점과 시장 점유율 확대 가능성은?
GMDSS 장비를 공급하는 기업은 전세계 5곳 이내로, 인텔리안테크는 이 중 유일하게 후발주자임에도 최신 플랫폼 설계와 가격경쟁력을 강점으로 갖는다. 기존 경쟁사 장비가 15~20년 전 플랫폼을 그대로 쓰고 있어 UI·기능·표준 대응에 뒤처진 반면, 인텔리안테크 제품은 터치스크린·컬러 UI 등 최신 사양을 채택했다. 또한 글로벌 서비스망(물류·A/S·파트너 네트워크)을 기반으로 시장 진입 장벽을 낮췄으며, 표준 변경에 따라 기존 장비가 전면 교체될 시장 구조도 기회 요인이다.
▲향후 확장할 해상 전자장비·신사업 방향은?
GMDSS는 시작일 뿐이며, 레이더·전자해도(ECDIS)·선박자동식별장치(AIS) 등 선박 브릿지 핵심 장비까지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전기추진·친환경 선박 전환, 자율운항 확대 등으로 선박 내 전자·디지털 장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새로운 성장 시장으로 보고 있다. 필요 시 관련 기술 기업 인수나 전략적 투자(M&A)도 검토 중이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