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도입된 GPR 탐사, 총 3만3129km 연장
1km당 공동 발견율 0.41개→0.08개로 대폭 감소
올해 7169km 탐사, 공동 578개 조치…위치 공개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지난 2014년부터 추진 중인 GPR(지표투과레이더) 탐사 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간 조사연장이 약 12배 늘고 1㎞당 발견된 공동(空洞·땅속 빈 공간) 수는 5분의 1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GPR 탐사는 지표에 전파를 쏘아 반사되는 신호를 분석해 땅속 빈 공간을 미리 발견하고 조치하는 지반침하 예방 활동이다. 서울시는 2014년 11월 GPR 탐사를 도입하고, 2015년부터 본격적인 정례 탐사를 진행해왔다.
연간 조사연장은 2015년 614㎞에서 2025년 9월 기준 약 7169㎞로 늘었다. 시는 연말까지 9000㎞의 탐사를 완료하고, 내년부터는 인력과 장비를 대폭 늘려 연간 1만8000㎞를 탐사할 계획이다. 굴착공사장 주변·일반 도로 구간 등도 매년 전수 조사하기로 했다.
![]() |
'서울안전누리' 내 'GPR 탐사지도' 상세 조회 화면. 서울시가 2014년 11월 이후부터 최근까지 GPR 탐사로 발견한 공동(땅속 빈 공간)의 위치를 표시하고 있으며, 공동발견 위치를 선택하면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진=서울시] |
GPR 탐사가 시작된 2014년부터 지난달까지 누적 조사연장은 총 3만3129㎞로, 이 기간 발견된 공동은 총 7760개로 집계됐다. 전체 조사기간 중 1㎞당 공동 발견율은 약 0.23개 수준이다.
탐사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연간 발견되는 공동 수는 늘었으나, 1㎞당 공동 발견 건수는 2015년 0.41개에서 올해 0.08개로 감소했다. 이는 GPR 탐사를 통한 공동 조기 발견과 선제적 제거의 결과로 분석된다.
시는 굴착공사장 주변에 대한 GPR 탐사를 대폭 강화했으며, 지난 4월부터 인근 지역에 대해 매월 1회 특별 점검을 시행하고 있다. 지하철·도로 터널 등 공사장 주변은 주 1회 집중 점검 중이다. 시는 지난 1월부터 9월까지 서울 시내 굴착공사장 289개와 대형공사장 23개소를 조사해 97개의 공동을 발견하고 모두 조치를 마쳤다.
시는 GPR 탐사 결과와 조치 현황을 시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서울안전누리' 내 'GPR 탐사지도'를 통해 2014년 11월 이후 발견·조치 완료한 7760개의 공동 정보를 제공 중이다.
9월 말부터는 '공동 밀집도' 기능을 새롭게 도입해 공동 발생 지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밀집도는 100m 구간 내 발견된 공동 개수에 따라 색상으로 표시되며, 발견 개수가 많을수록 색이 짙어지도록 설정돼 있다.
한병용 재난안전실장은 "서울시는 GPR 탐사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왔으며, 발견된 공동은 100% 신속 조치해 지반침하를 예방하고 있다"며 "GPR 탐사뿐 아니라 굴착공사장의 안전 관리를 더욱 강화하고, 지반침하 예방을 위한 신기술을 도입해 안전한 서울을 만들겠다"고 전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