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안암병원 연구자임상로 넬마스토바트기반 정밀면역치료 임상적 근거 강화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에스티큐브가 전이성 대장암 환자 대상 연구자임상에서 BTN1A1 고발현 환자군의 무진행생존기간(mPFS) 6.3개월을 확인했다. 이는 기존 표준치료 성과(mPFS 약 2~3개월)를 웃도는 결과로, BTN1A1 타깃 전략이 대장암 정밀면역치료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13일 에스티큐브는 오는 17~21일(현지시각)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발표 예정인 초록을 통해 이 같은 연구성과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공개된 초록에는 대장암 및 비소세포폐암을 대상으로 한 BTN1A1 타깃 치료의 임상 및 전임상 결과가 포함됐다.
연구초록은 2건이며, 주제는 각각 ▲BTN1A1 표적 면역치료에 따른 비소세포폐암 및 대장암 표준치료 효과 증대 ▲넬마스토바트와 카페시타빈 병용요법(전이성 대장암 대상 1b/2상 연구)의 임상적 유익을 예측하는 BTN1A1 H-Score 점수 및 다중 바이오마커 분석이다. 넬마스토바트는 에스티큐브가 개발 중인 계열 내 최초(First-in-class) BTN1A1 억제제다.
![]() |
에스티큐브 로고. [로고=에스티큐브] |
유승한 에스티큐브 연구총괄(CSO)은 "항암화학요법 이후 비소세포폐암과 대장암 모두에서 BTN1A1 발현이 증가하는 특이적 현상이 관찰됐다"며 "넬마스토바트를 화학요법(대장암에는 폴폭스/폴피리, 비소세포폐암에는 도세탁셀)과 병용 시 단독 대비 우수한 항종양 효과가 관찰됐고, 특히 PD-L1 음성 종양에서 BTN1A1 발현이 높아 의미 있는 결과가 확인됐다"고 전했다.
이어 넬마스토바트와 카페시타빈 병용요법에 대한 전이성 대장암 대상 연구자임상 1b/2상 면역조직화학(IHC) 분석 결과가 공개됐다. BTN1A1 H-Score 250 이상 환자군(고발현군, n=3)에서 mPFS 6.3개월이 관찰됐으며, BTN1A1 H-Score 150~249 환자군(n=7)과 150 미만 환자군(n=15)에서는 mPFS가 각각 4.2개월, 4.0개월로 나타났다. 이들 환자에서 새로운 안전성 이슈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병용요법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내약성을 보였다.
해당 임상을 진행한 이수현 고대안암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불응성 또는 전이성 대장암 환자 25명의 IHC 분석 결과, BTN1A1 H-Score가 높고 YAP1(항암제 내성 관련), SLFN11(DNA 손상 유발 항암제 민감도 관련), Ki-67/PD-L1 이중 발현(세포증식 및 면역억제 관련) 세포 비율이 높은 환자일수록 PFS가 연장되는 경향을 보였다"며 "이는 BTN1A1이 다른 지표들과의 상관성을 기반으로 정밀한 유효성 예측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넬마스토바트와 카페시타빈 병용요법은 치료이력이 많은 전이성 대장암 환자에서 유망한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을 보여줬다"며 "BTN1A1 억제 전략은 면역조절을 통한 새로운 치료 옵션이자 정밀면역치료로 확장 가능한 잠재력을 지닌다"고 덧붙였다.
이번 ESMO 발표에 이어, 오는 11월 열리는 면역항암학회(SITC 2025)에서는 전이성 대장암에 대한 에스티큐브의 회사 주도 임상 1b/2상 중 1b상(n=6) 초기 데이터 및 연구자임상 1b/2상 전체 환자(n=52)에 대한 중간결과가 공개될 예정이다. 대상은 간 전이 환자 등을 포함한 3차 치료 이상의 MSS(현미부수체 안정형) 전이성 대장암 환자들로, 면역항암제 불응 환자군에서 얻어진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현재 에스티큐브는 BTN1A1 양성 전이성·재발성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넬마스토바트와 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TAS-102), 베바시주맙 병용요법 임상 1b/2상을 진행 중이다. 표준치료인 TAS-102, 베바시주맙 병용요법(국내 Real world data 기준 mPFS 3.3개월, ORR 8.4%) 대비 유의한 생존 개선이 목표다. 또한 BTN1A1 양성 진행성·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넬마스토바트와 도세탁셀 병용 임상 2상 진입을 앞두고 있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