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수출 12.7% 급증…3년6개월 만에 최대
반도체 수출 전년대비 22% 급증 '사상최대'
자동차·선박 수출도 선전…10개 품목 늘어
수입 564억달러 8.2%↑…95.6억달러 흑자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지난 9월 수출이 전년동기 대비 12.7% 증가하면서 3년 6개월 만에 최대치를 경신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이 22%나 급증하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자동차와 선박 등 주요 품목들이 대부분 선전하면서 수출 증가세에 힘을 보탰다.
1일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지난 9월 수출은 659.5억달러를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12.7% 증가했다(그래프 참고).
지난 6월 이후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으며, 특히 수출 증가율이 10%대로 회복된 것은 올해 들어 처음이다. 3분기 수출도 6.6% 늘어난 1850.3억달러를 기록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일평균 수출은 조업일 확대(4일) 영향으로 역대 9월 중 2위 실적인 27.5억 달러(-6.1%)를 기록했다. 1~9월 누적 수출액도 5197.8억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2.2% 증가했다.
![]() |
◆ 반도체 수출 사상최대…자동차·선박 등 10개 품목 선전
품목별로 보면,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10개 품목 수출이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은 인공지능(AI) 서버를 중심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부가메모리가 강한 수요를 보이는 가운데, 메모리 고정가격도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면서 사상 최대치인 166.1억달러(+22.0%)를 기록했다.
자동차 수출은 순수전기차(EV)·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와 내연기관차가 모두 증가한 가운데 중고차도 호실적(10.4억달러, +131%)을 보이며 역대 9월 중 최대실적인 64억달러(+16.8%)를 기록했다. 자동차부품 수출도 19.2억달러(+6.0%)를 기록하면서 증가세로 전환됐다.
선박 수출은 21.9% 증가한 28.9억 달러로 7개월 연속 증가했다. 일반기계 수출(42억달러, +10.3%)은 아세안, 중동, 중남미 등 신흥시장 호실적에 힘입어 올해 첫 플러스를 기록했다. 석유제품 수출(41.5억달러, +3.7%)도 제품가격 상승(휘발유+1.4%, 경유+5.6%) 영향으로 소폭 증가했다.
![]() |
바이오헬스 수출은 9월 중 최대실적인 16.8억 달러(+35.8%)를 기록하면서 플러스로 전환됐으며, 디스플레이 수출도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실적인 17.5억달러(+0.9%)로 집계됐다. 섬유(8.7억달러, +7.1%), 가전(6.9억달러, +12.3%)은 올해 처음으로 수출이 플러스로 전환됐다.
석유화학(37.1억 달러, -2.8%)·철강(26.3억 달러, -4.2%)은 수출 물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출단가가 유가 약세 및 글로벌 공급과잉 등의 영향으로 하락하면서 소폭 감소했다.
한편, 15대 주력 품목 외에도 농수산식품(11.7억 달러, +21.4%), 화장품(11.7억 달러, +28.5%)이 전 기간 역대 최대실적을, 전기기기(14.6억 달러, +14.5%)가 9월 중 최대실적을 경신하면서 수출 증가세를 견인했다.
◆ 대미 수출 1.4% 감소 '선방'…아세안·EU·중남미 수출 급증
수출 지역별로 보면, 9대 주요지역 중 미국을 제외한 8개 지역에서 모두 수출이 증가했다.
대(對)중국 수출은 0.5% 증가한 116.8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4개월간의 마이너스 흐름을 끊고 플러스로 전환됐다. 대미국 수출은 관세정책 등 어려운 여건 속에 1.4% 감소한 102.7억달러를 기록했다.
대아세안 수출은 반도체, 일반기계, 선박 등 주요 품목이 증가하면서 9월 중 최대실적인 110.6억달러(+17.8%)를 기록했다.
![]() |
[자료=산업통상부] 2025.10.01 dream@newspim.com |
대EU 수출도 3대 수출품목인 자동차, 선박, 일반기계 호조세에 힘입어 19.3% 증가한 71.6억달러를 기록하면서 사상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대중남미 수출(30.3억달러)은 대다수 품목의 호실적으로 34.0% 증가했으며, 대일본 수출은 3.2% 증가한 25.6억달러로 플러스로 전환됐다. 대중동 수출(18.7억달러)은 17.5% 증가하면서 2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
대인도 수출은 17.5% 증가한 17.3억달러로 9월 중 최대실적, 대CIS 수출은 54.3% 증가한 15.2억 달러로 7개월 연속 증가했다. 9대 주요지역 외에도 대만으로의 수출은 HBM 등 반도체 호조세에 힘입어 사상 최대실적인 52.1억 달러(+40%)를 기록했다.
◆ 무역수지 95.6억달러…7년 만에 최대 규모 흑자
9월 수입은 8.2% 증가한 564억달러를 기록했다. 에너지 수입(94억달러)은 8.8% 감소했으나, 에너지 외 수입(470억달러)가 12.5% 증가했다.
9월 무역수지는 31.2억달러 증가한 95.6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2018년 9월(96.2억 달러) 이후 7년 만에 최대 흑자 규모를 달성했다. 1~9월 누적 흑자 규모도 504.7억달러로 138.5억달러 증가했다(그래프 참고).
![]() |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우리 수출이 9월에 사상 최대실적을 새롭게 경신했다"면서 "이는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한 대미수출이 위축되는 불리한 여건 속에서도, 우리 기업들이 수출시장 포트폴리오를 신속히 다변화해 이룬 값진 성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아직은 미 관세 협상 등 우리 수출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으로 경각심을 갖고 기민한 대응을 해나가야 할 때"라면서 "정부는 우리 기업들이 수출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이를 위해 9월 발표한 '미 관세 협상 후속 지원방안'을 차질 없이 이행하는 한편, 업계와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추가적인 지원책도 지속 발굴·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