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팔로 폭발물 제거, 임무수행 능력과 장병 안전 동시 강화
폭발물처리 임무수행 능력 향상 및 장병 안전 효과적 보호 기대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 방위사업청은 29일 창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 양산사업 착수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는 육·해·공군과 해병대, 국방기술품질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가 참석해 양산 계획, 공정·품질 관리, 부품 단종 대응, 기관 간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방사청은 2020년부터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 개발을 추진해 2023년 8월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았고, 우리 군 표준품목 지정과정을 거쳐, 지난 5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약 2700억 원 규모의 양산계약을 체결했다.
![]() |
폭발물 탐지제거용 1형. [사진=방위사업청] 2025.09.29 gomsi@newspim.com |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은 2025년 말부터 각 군에 순차적으로 인도돼 2027년 말까지 전력화를 완료할 예정이다.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은 뛰어난 기동성과 임무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한 모듈형 장비를 갖추고 있다. 폭발물 탐지·제거뿐만 아니라 위험지역 정찰, 비무장지대(DMZ) 통로 개척, 지하 시설물 탐색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용 인원은 위험지역 밖에서 휴대용 원격조종장치를 통해 로봇을 조종할 수 있고, 모든 방향으로 작동이 가능한 로봇 팔을 이용해 건물 천장에 설치된 폭발물까지 제거할 수 있다.
![]() |
폭발물 탐지제거용 2형 지뢰탐지용. [사진=방위사업청] 2025.09.29 gomsi@newspim.com |
탐지 기능 역시 대폭 강화되어 금속뿐 아니라 비금속 지뢰도 탐지할 수 있고, 철판 뒤를 투시할 수 있는 X-ray 장비를 통해 교묘하게 위장된 급조폭발물도 식별할 수 있다. 탐지된 폭발물은 로봇에 장착된 집게로 인양 또는 케이블 절단기로 해체하거나, 고압의 물을 발사하는 물포총으로 현장에서 무력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병부대와 폭발물처리 전담 인원의 임무 수행 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장병들의 생명과 안전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폭발물 탐지제거용 3형 통합형. [사진=방위사업청] 2025.09.29 gomsi@newspim.com |
방위사업청 정재준 미래전력사업지원부장은 "향후 국내 기술로 개발한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이 일선 부대에 배치되면 우리 군의 임무 수행 능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장병들의 안전을 더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을 것"이라며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이 미래전장환경에 대비하기 위한 유무인 복합체계 고도화와 첨단산업 기반 확대에 기여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goms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