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책 이후 위축됐던 수요가 다시 거래로 전환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9월 들어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상승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9.7 공급대책 발표 이후에도 서울은 오름세를 이어갔고, 주춤했던 경기도 역시 이번 주 들어 반등했다.
19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9월 거래에서 종전 최고 거래가격을 넘어서는 단지가 다수 확인되며 가격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다.
![]() |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49건)에서 가장 많은 단지가 최고가를 새로 썼다. 리모델링이나 재건축 추진 등 정비사업 기대감이 맞물린 1기 신도시 분당과, 강남과의 접근성이 좋은 판교를 중심으로 강세가 유지됐다.
서울에서는 성동구(37건), 강동구(29건), 마포구(22건)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도심 입지로서 강남의 차선 선택지로 꼽히며 신흥 주거지로 수요자들의 선택을 받는 모습이다. 이어 송파구(18건), 광진구(17건), 동작구·양천구(각 12건), 영등포구(11건) 등에서도 최고가 경신 거래가 확인됐다.
9월 들어 최고가 경신 거래가 늘어난 것은 6.27 대책 이후 위축됐던 수요가 다시 거래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9.7 대책에서 공급 확대 방안이 제시되었지만, 공급정책 특성상 단기적 효과는 제한적이어서 수요자들은 현재 선택 가능한 입지와 단지에 집중하고 있다.
수도권에서는 분당·판교처럼 서울 접근성이 좋은 지역이나, 전통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도심 입지에 수요가 계속 집중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반면 선호 지역으로의 쏠림과 외곽 지역의 정체가 동시에 나타나며 시장 양극화가 짙어지는 분위기다. 지역별 흐름의 차별화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서울 주요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연장으로 핵심 입지에 대한 진입 장벽은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이 크고, 가격 상승에 따라 추가 지정이나 규제 가능성을 의식한 선매수 움직임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dos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