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아파트 매매가격 0.05% 하락…매물도 급증
"실질적 거래까진 시간 소요…행정수도 이전 구체적 계획 나와야"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이후 처음으로 세종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제2집무실을 세종으로 조속히 옮기겠다고 하면서 세종 부동산 시장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의지가 재확인되면서 그동안 주춤했던 집값이 반등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 것이다.
다만 임기 내 집무실 이전이 가능할지 불투명한 데다 그동안 정치권 움직임으로 집값이 요동쳤던 만큼 지역 안에선 이전만큼 집값의 등락보단 '정중동' 상태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 |
◆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 0.05% 하락…매물도 급증
19일 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 발언으로 집값 상승 기대감이 나오고 있지만 실제 시장 움직임은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최근 이 대통령은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했다. 이 대통령은 "세종에 와보니 여유 있고 좋다"며 "세종 회의는 처음인데 빨리 대통령 제2집무실을 지어서 세종으로 옮겨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국정기획위원회 산하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가 세종 집무실 건립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한달여 만에 대통령이 직접 메시지를 내놓으면서 가라앉았던 세종 부동산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모양새다.
그동안 정치권에서 행정수도 이전 발언에 세종은 가격이 요동쳤다. 앞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결정 이후 지난 4~5월 대선 후보들이 임기 내 대통령 제2집무실과 세종의사당 건립 등 행정수도 이전을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집값이 치솟았다.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지난 4월 21일 기준 0.23%를 기록했다. 같은기간 17개 시·도 가운데 상승세를 보인 곳은 서울(0.08%)이 유일했고 나머지는 보합 전환되거나 하락세를 보였다.
이후 세종 매매가격은 0.49%까지 치솟으며 올해 최고 상승폭을 찍었다. 하지만 이 대통령이 취임 이후 용산 집무실을 임시로 사용하다가 우선 청와대로 복귀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치면서 세종 이전에 대한 기대감이 사그라들며 6월23일 기준 0.04%로 상승폭이 크게 둔화됐다. 이후 7월 7일 보합으로 전환됐고 등락을 거듭하다 하락세로 전환됐다. 이달 8일 기준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은 0.05% 하락했다.
매물 역시 늘었다. 올해 1월 1일 기준 8156건이었던 매물은 지난 4월 4일 정치 불확실성이 고조됐던 시점에 7598건으로 줄었고 대선이 치러진 6월까지 6675건으로 1481건(18.2%)이 줄었다. 하지만 이날 기준 세종시 매물은 7997건으로 대선 이후 19.8% 증가했다.
◆ "실질적 거래까진 시간 소요…행정수도 이전 구체적 계획 나와야"
이번 대통령 발언이 단기적으로 매수 심리를 자극할 가능성은 있지만 실질적인 거래까지 이어지기까진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종 부동산 시장 특성상 정책 변수에 민감하게 움직이긴 하지만 집무실 이전 추진이나 세종의사당 건립과 관련해 구체적인 윤곽이 잡혀야 본격적인 반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 거래도 이전보다 상승 거래보단 가격을 낮춘 상황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세종시 도담동 '도램15단지힐스테이트' 전용 84㎡는 이달 6억29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달 6억8500만원에 거래됐던 점을 감안하면 5600만원 낮아졌다. 어진동 '한뜰5단지린스트라우스' 전용 84㎡는 지난 6월 8억9000만원으로 최고가를 찍었지만 지난달 8억2000만원에 손바뀜되며 7000만원 줄었다.
세종시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대통령 발언 이후 매수 문의가 소폭 늘었지만 실제로 계약까지 이어지기엔 조심스러운 분위기"라며 "연초때처럼 집값이 급등하기 보단 당분간 숨고르기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또다른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아직까지 매도자나 매수인이나 뚜렷한 움직임은 없다"면서 "기대감은 깔려있지만 계획이 구체적으로 나오거나 실제 착공이 이뤄지기전까진 이전과 같은 가격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세종의사당 부지 조성 공정률이나 집무실 설계 공모 같은 구체적인 수치와 일정이 나와야 매수세가 본격적으로 살아날 것"이라며 "단기적으로는 매도자들이 호가를 조금 높여 내놓는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min7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