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남정훈 기자 = 프로야구가 어느덧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전체 일정의 92%가 소화된 가운데, 이제 남은 경기는 팀별로 많게는 13경기, 적게는 8경기에 불과하다. 정규시즌 종료가 눈앞으로 다가오면서 순위뿐 아니라 개인 타이틀 경쟁도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특히 '구원왕' 자리를 둘러싼 다툼은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혼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지난해에는 KIA 정해영이 9월부터 독주 체제를 굳히며 일찌감치 구원왕을 확정했다. 당시 2위였던 오승환(삼성)이 부진에 빠지면서 사실상 경쟁이 무의미해졌고, 정해영은 1998년 임창용 이후 26년 만에 타이거즈 소속 구원왕에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 현재 세이브 순위 상위 5명의 이름은 모두 구원왕과 인연이 없었던 선수들이다. 이들의 격차는 단 5개 세이브 차. 끝까지 결과를 장담할 수 없다.
![]() |
[서울=뉴스핌] kt의 마무리 투수 박영현이 지난 8월 24일 두산과의 경기에서 세이브를 기록한 뒤 환호하고 있다. [사진 = kt] = 2025.08.24 wcn05002@newspim.com |
16일 기준 세이브 부문 1위는 kt의 박영현으로 33세이브를 기록 중이다. 뒤이어 롯데 김원중과 한화 김서현이 나란히 31세이브로 공동 2위에 올라 있다. NC의 류진욱이 29세이브로 4위, SSG 조병현이 28세이브로 5위를 달리고 있다. 단연 눈길을 끄는 것은 이 다섯 명 모두 생애 첫 구원왕을 노리고 있다는 점이다.
다만 4위 류진욱은 경쟁에서 다소 멀어졌다. 그는 지난 7일 KIA전에서 세이브를 기록한 뒤 팔꿈치 통증을 호소했고, 결국 10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됐다. 복귀 시점이 불투명한 만큼 사실상 타이틀 경쟁에서는 한발 물러난 상태다.
박영현은 홀드왕 출신답게 이번 시즌에도 안정적인 활약을 펼치며 마무리 투수로 확실히 자리매김했다. 지난해 10승 25세이브로 데뷔 첫해부터 강렬한 인상을 남겼던 그는 올해도 63경기에 나서 5승 6패 33세이브, 평균자책점 3.68을 기록 중이다. 시즌 초반 무서운 기세로 세이브를 쌓아 올렸지만, 최근 잦은 등판 탓에 체력 저하가 뚜렷했다.
박영현은 지난달 말부터 실점하는 횟수가 많아졌으며, 지난 4일 LG와의 경기에서는 0.2이닝 3실점(3자책)을 허용하며 패전 투수가 됐다. 4경기 연속으로 세이브가 없었던 박영현은 11일 LG와의 경기에서 단 한 타자를 상대하며 세이브를 올려 자신감을 되찾았다. 만약 박영현이 타이틀을 끝까지 지켜낸다면, 그는 2023년 홀드왕, 2024년 승률왕에 이어 3년 연속 개인 타이틀을 거머쥐게 된다.
또 박영현은 구단 역사에 새로운 발자취를 남겼다. 올 시즌 22세의 어린 나이로 데뷔 첫 30세이브를 돌파하며, 김재윤(현 삼성)이 세운 kt 구단 최연소 기록(31세)을 갈아치웠다.
전반기 24세이브와 1점대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리그 최고 마무리 중 하나로 군림했던 김원중은 후반기 들어 좋았던 기세가 떨어졌다. 8월 8경기 중 5경기에서 실점을 범해 월간 평균자책점이 3.75까지 뛰었으며 이 기간 동안 세이브를 단 2개밖에 올리지 못했다. 9월도 3경기에 등판해 1승 1패 1세이브로 페이스가 떨어졌다.
![]() |
[서울=뉴스핌] 롯데의 마무리 김원중이 지난 18일 사직 한화전에서 통산 150세이브를 달성한 후 세리머니 하고 있다. [사진 = 롯데] 2025.06.18 wcn05002@newspim.com |
이는 팀 성적과도 연관이 있다. 롯데는 후반기 12연패와 5연패를 하며 김원중에게 세이브 기회를 주지 않았고, 김원중은 8, 9월 경쟁자들이 치고 나갈 때 단 3개의 세이브만을 기록했다. 그럼에도 김원중은 지난달 26일 30세이브 고지를 밟으며 롯데 구단 역대 최다인 세 차례(2021·2023·2025년) 30세이브 달성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한화의 젊은 마무리 김서현은 기복이 심했지만 최근 들어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 8월에는 13경기에 등판해 평균자책점 8.44로 크게 흔들렸으나, 9월 들어 안정감을 되찾으며 9경기 연속 무실점을 기록 중이다. 이 기간 동안만 5개의 세이브를 보탰다. 한화 구단 우완 투수 역사상 최초로 30세이브를 넘어섰다는 점도 의미가 크다. 현재 64경기에 나서 1승 3패 31세이브 2홀드, 평균자책점 2.66을 기록하며 리그 상위권 마무리로 자리매김했다. 다만 최근 팀 타선이 터지면서 세이브 기회가 줄고 있다는 점이 변수다.
![]() |
[서울=뉴스핌] 5일 대전 삼성과의 경기에서 9회 마무리 투수로 등판한 김서현(한화)이 세이브를 거둔 뒤 기뻐하고 있다. [사진=한화] 2025.05.05 wcn05002@newspim.com |
'포스트 오승환'으로 불리는 SSG 조병현은 2022시즌 LG에서 활약했던 고우석((42세이브 평균자책점 1.48) 이후 3년 만에 1점대 평균자책점 구원왕에 도전한다. 데뷔 5년 차인 그는 지난 시즌 풀타임 불펜 투수로 이름을 알렸고 올 시즌 SSG의 철벽 불펜의 핵심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해 8월 SSG의 마무리로 낙점된 조병현은 안정적인 활약을 보이면서 팀의 뒷문을 확실하게 지키고 있으며 상위 5명 중 가장 안정적인 투수다. WHIP(이닝당 출루허용률) 0.82로 압도적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피안타율도 0.180으로 2할이 넘지 않는다. 점수 자체를 내주지 않다 보니 평균자책점도 1.45로 현저히 낮다.
![]() |
SSG의 마무리 투수 조병현. [사진 = SSG] |
SSG가 부진했던 전반기를 털고 후반기에 다시 날아오르며 조병현이 세이브를 쌓을 기회도 많아지고 있다. 조병현은 후반기 동안 11개의 세이브를 세워 빠르게 선두권을 따라붙고 있다. 남은 경기 수도 13경기로 가장 많아, 막판 뒤집기를 노려볼 만하다.
류진욱의 이탈로 경쟁 구도는 네 명으로 좁혀졌다. 그 뒤를 KIA 정해영(26세이브), 두산 김택연(23세이브), LG 유영찬(21세이브) 등이 쫓고 있으나, 격차가 커 막판 역전 가능성은 낮다. 결국 2025시즌 구원왕의 주인공은 박영현, 김원중, 김서현, 조병현 네 명 가운데에서 탄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wcn050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