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서울대-KAIST 컨소시엄, '의약품개발연구소' 선정
[대전=뉴스핌] 오영균 기자 = 충남대학교는 교육부 '2025년 글로컬랩(Glocal Lab)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교육부가 '2025년 글로컬랩 지원사업' 선정 결과를 발표한 가운데, 충남대-서울대-KAIST가 컨소시엄을 구성한 '의약품개발연구소'가 최종 선정됐다. 충남대는 이 컨소시엄의 주관대학이다.
![]() |
충남대. [사진=충남대] |
글로컬랩 사업은 대학 부설 연구소를 지역 기초연구와 산업 연계의 허브로 육성하는 교육부의 신규 R&D(연구·개발) 사업으로, 전국 14개(컨소시엄형 3개 + 거점형 11개) 대학만이 선정된 대형 국책 과제다.
충남대는 컨소시엄을 구성한 서울대, KAIST와 함께 2034년까지 국비 216억 원을 지원받는다.
충남대와 서울대, KAIST는 AI를 기반으로 한 수리과학과 제약바이오 융합 혁신연구 생태계 구축을 통해 지역의 전략산업인 바이오헬스산업 분야의 초격차 R&D 확산 거점 기관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충남대, 서울대, KAIST 컨소시엄은 이번 사업을 통해 AI를 기반으로 한 수리과학과 제약바이오 융합 혁신연구 생태계를 구축하고 지역 정주 전문인력 200명, 전임교원/책임연구원급 100명 등 전문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충남대 의약품개발연구소는 서울대 천연물과학연구소, KAIST 수리과학 융합연구 스테이션과 함께 '지능형데이터 융합 시스템천연물 연구플랫폼'을 구축하고, 지역-글로벌 연계를 통한 바이오헬스산업 혁신과 미래 인재양성 거점 역할을 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충남대는 지역협력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지역 거점 연구인프라 구축, 서울대는 국제협력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초격차 연구, KAIST는 수리과학-약학 융합연구를 통한 시너지 창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3개 대학은 AI-데이터-시스템천연물 융합을 기반으로 첨단 예측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제약바이오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충남대 의약품개발연구소 나민균 소장(주관연구책임자)은 "'지능형데이터 융합 시스템천연물 연구플랫폼'이 벽을 허무는 초격차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지역의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에 기여해 혁신성장의 허브가 될 것"이라며 "이번 사업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해 준 대전시, 대전테크노파크, 유성구 등 지자체와 휴비스트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안지오랩, 칼리시, 라일락 등 지역 산업체의 참여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gyun5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