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36회 임시회 폐회…31개 안건 처리
[광주=뉴스핌] 박진형 기자 = 광주시의회는 총 31개의 안건을 처리하며 임시회 일정에 마침표를 찍었다고 5일 밝혔다.
광주시의회는 지난달 8월 28일부터 이달 5일까지 9일간 열린 제336회 임시회를 폐회했다. 이번 임시회에서는 조례안 22건, 동의안 3건, 의견청취안 2건 등 총 31개 안건이 처리됐다.
![]() |
광주광역시의회. [사진=뉴스핌 DB] |
광주시 산하기관인 광주여성가족재단 이사장과 광주테크노파크 원장에 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선임도 마쳤다. 광주여성가족재단 인사특위 위원장은 최지현 의원, 부위원장에는 이명노 의원이 선출됐다.
광주테크노파크 원장 인사특위에서는 박필순 의원이 위원장, 서임석 의원이 부위원장이 각각 인선됐다. 오는 11월 3일부터 14일까지 총 12일간 진행되는 행정사무감사 계획도 확정됐다.
이번 임시회에서 상임위 심사가 보류된 조례안은 총 3건이다. 먼저 '광주외국인학교 내국인 입학자격 조례안'은 외국 거주기간(3년) 등 내국인 입학 요건을 폐지하고 입학 비율을 정원의 30%에서 50%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내국인 자녀들이 다니는 귀족학교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으면서 제동이 걸렸다. 대표 발의한 정무창 시의원은 "시민단체와 논의 과정을 거쳐 완성된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광주시교육청 산업재해 예방 및 안전보건 관리에 관한 조례안'은 학교 급식 조리실 내 환기 설비 설치를 지원해 건강권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튀김이나 구이 등 기름을 고온에서 가열할 때1급 발암물질인 조리흄이 발생하는데, 이 물질에 장기간 노출되면 폐암, 폐질환 등 위험이 높아진다.
조리흄 정화 장치는 1개당 3억원 정도 비용이 든다고 한다. 이에 대해 교육문화위원들은 "산적한 교육 현안이 많아 예산의 여유가 없다"며 "학교 대부분이 민가와 떨어져 있다"고 반대 입장을 보였다고 전해졌다.
'광주시 공중위생영업 활성화 지원 조례안'은 식위생 관련업 일자리 알선·지원을 확대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임위 위원들 간 소통 부재와 공감대 부족과 함께 집행부 쪽에서 비용 발생에 난색을 표하면서 논의가 중단됐다.
신수정 광주시의장은 폐회사를 통해 "정부의 2차 소비쿠폰 지급과 골목형 상점가 지원이 민생 회복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쓰레기 처리 위기는 투명성과 신뢰 회복으로 풀어내고 세계양궁선수권대회를 통해 광주가 평화와 희망의 상징으로 우뚝 서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bless4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