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3~24일 방일 한일정상회담 앞두고
요미우리신문과 인터뷰서 유지 입장 밝혀
"김대중오부치 선언 잇고 미래지향 희망"
"수산물 조기 수입, 신뢰 회복 먼저 돼야"
[서울=뉴스핌] 김종원 선임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1일 일본 요미우리신문과 인터뷰에서 한일 간의 위안부 합의와 강제 징용 배상과 관련해 "국가 간 합의를 뒤집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유지 입장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정책 일관성과 국가의 대외 신뢰를 생각하고 국민과 피해자·유족 입장도 진지하게 생각하는 두 가지 책임을 동시에 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취임 후 처음으로 오는 23~24일 일본을 찾아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요미우리신문과 인터뷰를 했다.
![]() |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23일 방일을 앞두고 21일 요미우리신문과 인터뷰를 했다. 사진은 지난 8월 13일 이 대통령이 나라재정 절약 간담회에서 발언하는 모습. [사진=대통령실] |
이 대통령은 한일 간의 최대 현안 중에 하나인 위안부와 강제 징용 문제에 대해 "가능한 한 현실을 인정하고 서로 이해하려 노력하며 적대적이지 않도록 하면서 해결해서 나가면 될 것"이라고 해법을 제시했다.
박근혜 정부와 윤석열 정부에서 이뤄진 위안부 합의와 강제 징용 배상 해법과 관련해 이 대통령은 "한국 국민으로서 매우 받아들이기 어려운 전 정권의 합의"라고 규정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국가로서의 약속이므로 뒤집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유지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한일 관계에 대해 "(일본은) 매우 중요한 존재"라면서 "한국도 일본에 유익한 존재가 될 수 있다"고 협력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한일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길을 발굴하고 협력 가능한 분야를 넓혀야 한다"고 미래지향적인 협력 관계를 희망했다.
일본 측이 요구하는 수산물 조기 수입에 대해 이 대통령은 "일본 일부 지역 수산물에 대한 한국 소비자의 신뢰는 개별 문제"라면서 "한국 국민의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다소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이시바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이 대통령은 "취임 후 지속적으로 평화와 번영을 위해 한일 두 나라가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는 의지를 피력해 왔다"면서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관계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 |
이재명 대통령(오른쪽)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지난 6월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첫 번째 한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일본 외무성 홈페이지] 2025.06.18 |
이 대통령은 "한일 관계가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관계로 대전환 되기를 바란다"면서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잇고 이를 넘어서는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를 만들고자 한다"고 희망했다.
한일, 한미, 한미일 관계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한일 간에 안보 측면에서도 협력을 심화하고 한미일 공조도 지속 강화해 나가야 한다"면서 "중국, 러시아, 북한과의 관계 관리도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도 한미, 한일, 한미일 협력은 든든한 토대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북 관계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은 한국에도 중요하지만 일본, 중국, 러시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대북 대결정책 보다는 평화적으로 서로 공존하고 인정하고 존중하는 공동 번영의 길을 찾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 핵 위협과 북미 간 대화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정책적 방향은 한반도의 비핵화"라고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해법과 관련해 "1단계는 핵과 미사일에 대한 동결, 2단계는 축소, 3단계는 비핵화에 해당한다"면서 "한국 정부는 미국과 긴밀한 공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적극적인 남북 대화를 통해 핵을 동결, 축소, 폐기까지 갈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대통령이 일본을 찾는 것은 2023년 5월 윤석열 전 대통령이 히로시마를 방문한 이후 약 2년 만이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