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엔비디아 애플 테슬라 퀄컴 GE 월마트 스타벅스 캔터키치킨 맥도널드와 버드와이저'
AI반도체 IT 등 첨단 기술과 소비 경제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모르는 사람이 없는, 오늘날 미국을 대표하는 유명 기업들이다.
중국 베이징 외곽 순이구 신국가전람관(7월 16일~20일)에서 열린 제 3회 중국 국제공급망 촉진 박람회장에서 뉴스핌 기자의 눈에 중국 기업 다음으로 많이 눈에 띈 것은 미국 기업들이었다.
디지털 과기 전시 구역에는 엔비디아 애플 퀄컴이, 스마트자동차 전시 구역에는 테슬라가 넓은 부스를 설치해 신기술과 미중 기업간 협력을 소개했다. 엔비디아는 커다란 부스 한편에 작은 교실을 마련해 중국인 참관객들에게 AI 반도체 신기술 응용을 설명하고 있었다.
![]() |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베이징에서 열린 제 3회 중국 국제공급망 박람회의 미국 캔터키 치킨 K커피 판매장. 사진=뉴스핌 촬영. 2025.07.18 chk@newspim.com |
사람들은 미국과 중국이 무역전쟁과 기술전쟁을 치르고 있다는 것을 아랑곳 하지 않은 표정이다. 이들 미국 기업 부스에는 예외없이 많은 참관객들이 몰려들어 인산인해를 이뤘다.
박람회장이 얼마나 넓은지 선진제조 디지털과기 스마트자동차 청정에너지 녹색농업 등 7개 전시 구역가운데 디지털과기 한개 전시장만 돌아봤는데도 위챗 앱을 보니 도보 걸음 수가 벌써 5천 보라고 표시돼 있다.
스마트 전시구역을 넘어가기 위해 잠깐 복도에 나와 쉬려는데 스타벅스와 K 커피의 간이 쉼터가 눈에 띈다. 웬 한류(K) 커피인가 싶어 다가가 살펴봤더니 기대와 달리 미국 캔터키 치킨이 운영하는 커피 매장이었다.
휴식공간 대형 유리창 밖으로는 시원하게 물을 뿜는 분수대를 배경으로 스타벅스와 맥도널드 대형 광고 간판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매체에 제공하는 점심 테이블에는 협찬사로 참가했는지 미국을 대표하는 맥주 버드와이저가 잔뜩 올라왔다.
![]() |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중국 국제 공급망 박람회의 미국 테슬라 전시 부스. 사진=뉴스핌 촬영. 2025.07.18 chk@newspim.com |
![]() |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중국 국제 공급망 박람회의 미국 엔비디아 전시 부스. 사진=뉴스핌 촬영. 2025.07.18 chk@newspim.com |
전략적 패권 경쟁속에 격렬하게 대립하면서도 실용적 차원에서 누구 눈치를 보거나 아무것도 거칠것 없이 마음놓고 필요한 상대를 찾아 활발하게 비즈니스 교류를 펼치는 미국과 중국이 참 부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과를 깨문듯한 큼직막한 대형 애플 로고가 부착된 전시 부스. 애플의 어떤 최신 제품이 전시됐나 궁금해 하면서 부스에 발을 들이자 아이폰 같은 애플 제품이 아니라 애플에 부품 공급을 하는 중국 협력기업들의 다양한 제품들이 전시돼 있었다.
부스를 돌아보니 테슬라가 중국 부품 공급 협력업체들과 함께 전기차를 만들 듯 애플 또한 수많은 중국 부품 업체들과 협력해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비롯한 스마트 제품들을 만들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미국 기업들만 아니라 일본 프랑스 독일 기업 모두가 촘촘한 공급망 연결을 통해 중국 비즈니스를 벌이고 있다.
살벌한 무역전쟁의 시기, 기업들은 국제 공급망 박람회장를 통해 기업 생존의 돌파구를 찾기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는 것 처럼 보였다. 이전 정부가 내세운 '탈중국'의 여파인지 한국 기업중에는 의료기기 바이오 분야 두 기업이 박람회장에 명함을 내민게 전부였다.
![]() |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중국 국제 공급망 박람회장 건물에 미국 스타벅스와 맥도널드의 대형 로고 광고판이 설치돼 있다. 사진=뉴스핌 촬영. 2025.07.18 chk@newspim.com |
7월 16일 박람회 개막식 연설에서 젠슨 황 CEO는 "엔비디아는 AI 제품 서비스 산업 전반에서 중국과 함께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연설 말미에 평소 좀체 쓰지 않는 중국어로 '중국 파트너들과 함께 미래 번영을 일궈가겠다'며 미중 협력을 특별히 강조했다.
제슨 황 CEO에 앞서 축사에 나선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는 다변주의를 통해 글로벌 협력을 이끌어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고,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도 영상 축사를 통해 글로벌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미국 캔터키 치킨이 출시한 'K(캔터키) 커피' 한잔을 다 마신 뒤 스마트 자동차 전시장으로 들어가니 앞쪽 자리에 저장성 지리 자동차 부스가 설치돼 있었다. 지리 자동차 그룹은 오래전 한국 소형차를 모방해 짝퉁 논란을 불렀던 기업이다.
지리자동차 그룹은 기술 자회사를 통해 미국 구글의 자율주행 웨이모에 자율주행 기술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다. AI 로보 택시 분야에서 세계 선두급 기업이다. 박람회장을 둘러보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세계 무역질서 교란 행위가 날로 심각해지는 상황에서도 중국과 미국 등 서방 기업들간의 협력은 점점 긴밀해지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 |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베이징에서 열린 제3회 중국 국제 공급망 박람회의 미국 애플 현지 협력 업체 전시 부스. 사진=뉴스핌 촬영. 2025.07.18 chk@newspim.com |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